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는 순간은 누구에게나 낯설다.
어떤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지, 왜 설치해야 하는지, 간단한 코드조차 어떻게 실행해야 하는지조차 막막하기 쉽다.
하지만 구조만 알면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
이번 글에서는 개발환경 설치 → 첫 코드 작성 → 출력 → 입력까지,
처음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 사람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본 흐름을 차근차근 정리한다.
왜 개발환경(IDE)이 필요한가
프로그래밍을 할 때 단순히 “코드를 적는 메모장”만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제 프로그램은 단순 텍스트가 아니다.
코드는 컴퓨터가 이해하는 언어(기계어) 로 번역돼야 하고, 실행에 필요한 여러 파일들이 묶여야 하며,
오류가 생기면 이를 찾고 수정하는 과정도 필요하다.
이 모든 과정을 한 번에 처리하도록 도와주는 도구가 통합 개발환경(IDE) 이다.
IDE가 제공하는 기능은 크게 세 가지다.
- 편하게 코드를 적을 수 있는 편집기
- 코드를 기계어로 바꾸는 빌드/컴파일 시스템
- 오류를 추적해주는 디버거
이 세 가지가 모이면 “코드 작성 → 실행”의 전체 흐름이 비로소 하나의 작업이 된다.
실전에서 많이 쓰는 Visual Studio Community
초보자에게 가장 추천되는 IDE는 Visual Studio Community다.
무료이면서도 기능이 강력하고, C·C++·C#처럼 컴파일 기반 언어를 다루는 데 특히 안정적이다.
설치도 어렵지 않다.
- 공식 사이트에서 Community 버전 다운로드
- 설치 프로그램 실행
- “C++를 이용한 데스크톱 개발” 선택
- 설치 완료 후 IDE 실행
이 과정을 거치면 바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진다.
첫 번째 프로그램: 화면에 글자를 출력하는 법
개발환경까지 완성되었으면 이제 실제 코드 작성 단계로 넘어간다.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첫 예제로 항상 등장하는 것이 있다.
바로 “hello, world” 를 화면에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
C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n");
return 0;
}
이 간단한 예제에 중요한 원리들이 모두 들어 있다.
- 프로그램은 main 함수에서 시작한다.
- printf() 를 사용하면 화면에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
- 줄바꿈은 \n으로 표현한다.
- 작업이 정상적으로 끝나면 return 0;으로 종료를 표시한다.
문자열을 출력하는 것은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기본적인 행동이자,
“코드가 실제로 살아서 실행된다”는 경험을 처음 제공하는 지점이다.
출력의 기본: printf() 사용법
printf()는 화면에 결과를 보여주는 함수다.
숫자든 문자든, 어떤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보여줄지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intf("값: %d\n", 10);
여기서 %d는 정수를 출력한다는 의미다.
이렇게 형식을 지정하는 표현을 서식 지정자라고 한다.
자주 쓰는 서식 지정자는 다음과 같다.
- %d 정수
- %f 실수
- %s 문자열
- %c 문자
- \n 줄바꿈
즉, printf는 단순한 출력이 아니라 “데이터를 보기 좋게 표현하는 도구”다.
입력의 기본: scanf() 사용법
출력만 있으면 컴퓨터는 일방적으로 말하는 존재가 된다.
입력이 있어야 사용자와 프로그램이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입력에 사용하는 함수가 scanf() 다.
예제:
int num; scanf("%d", &num);
핵심 포인트는 &num.
변수 자체가 아니라 변수의 주소(저장 위치) 를 함수에 넘겨야
입력된 값이 실제로 변수 안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간단한 더하기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보자.
int a, b; printf("첫 번째 숫자: ");
scanf("%d", &a); printf("두 번째 숫자: ");
scanf("%d", &b); printf("합: %d\n", a + b);
입력 → 저장 → 계산 → 출력
프로그래밍의 전체 흐름이 이 짧은 코드에 그대로 들어 있다.
실제 개발 흐름 요약
처음 프로그램을 만들 때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다.
- IDE에서 프로젝트 생성
- 새 소스 파일 추가
- 코드 작성
- 컴파일/실행
- 출력 확인
이 순서를 반복하다 보면 손이 문법을 기억하고
자연스럽게 프로그램 구조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정리 — 프로그래밍 입문의 첫 단계
프로그래밍은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지만
기본 흐름을 파악하면 훨씬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IDE는 코드 작성부터 실행까지 모든 과정을 관리한다.
- 개발환경은 Visual Studio Community 하나만으로 충분하다.
- printf()는 출력의 중심이다.
- scanf()는 입력의 출발점이며 주소 전달이 핵심이다.
- 입력과 출력만 이해해도 간단한 프로그램은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이 단계만 지나면 이후의 조건문, 반복문, 배열, 포인터 같은 내용도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프로그래밍의 첫 장벽을 넘었다면 이미 반은 성공한 셈이다.
단어장 정리
통합개발환경(統合開發環境) /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統 거느릴 통, 合 합할 합, 開 열 개, 發 필 발, 環 고리 환, 境 지경 경.
integrate(in + tangere ‘묶다’) + develop(de + volvere ‘굴리다’) + environment(en + viron ‘둘레’).
출력(出力) / Output
出 날 출, 力 힘 력.
output: out(밖으로) + put(두다).
입력(入力) / Input
入 들 입, 力 힘 력.
input: in(안으로) + put(두다).
함수(函數) / Function
函 상자 함, 數 셀 수.
function: fungere(역할을 하다).
서식지정자(書式指定子) / Format specifier
書 글 서, 式 법 식, 指 가리킬 지, 定 정할 정, 子 아들 자.
format: forma(형태). specify: specere(보다).
주소연산자(住所演算子) / Address operator
住 살 주, 所 바 소, 演 펼 연, 算 셈 산, 子 아들 자.
address: ad(향해) + directus(바른 방향).
#프로그래밍입문
#개발환경설치
#VisualStudio
#비주얼스튜디오
#코딩초보
#C언어기초
#프로그래밍공부
#컴퓨터언어
#코딩하는법
#printf
#scanf
#코딩시작
#컴파일러
#IDE설치
#IT입문
#소프트웨어개발
#초보개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