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르 코르뷔지에의 모듈러: 인간을 위한 건축의 황금비율을 찾아서

by DS80 2025. 7. 17.
반응형

 

오늘은 건축의 거장이자 현대 디자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의 특별한 연구, 바로 **'모듈러(Modulor)'**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그는 단순히 아름다운 건물을 짓는 것을 넘어, 건물이 인간에게 얼마나 편안하고 조화로울 수 있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했어요. 그리고 그 해답을 인체와 수학의 조화에서 찾았죠.

왜 르 코르뷔지에는 '인간 스케일'에 주목했을까?

르 코르뷔지에가 활동하던 시대는 산업화와 대량 생산이 가속화되던 시기였습니다.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때로는 인간의 편의나 감성은 간과될 수 있었죠. 그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건축이 다시 인간 중심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집이나 가구가 아무리 멋있어도 우리 몸에 맞지 않으면 불편하고, 결국 공간에 대한 만족도도 떨어지기 마련이니까요.

그는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건축과 디자인에서 인간의 크기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어떨까?" 이 질문에서 '모듈러'라는 위대한 아이디어가 시작됩니다.

모듈러, 인체와 수학의 아름다운 만남

모듈러는 르 코르뷔지에가 제안한 인간 비례 기반의 척도 시스템입니다. 마치 옛 예술가들이 황금비율(Golden Ratio)을 사용해 가장 아름다운 조형을 만들어냈듯이, 르 코르뷔지에는 인간의 몸을 기준으로 건축과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비례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그는 1.83m(약 6피트) 키의 남성 이미지를 기준으로 삼고, 인체의 각 부분, 팔을 든 손끝의 높이 등을 황금비율과 피보나치 수열이라는 수학적 원리에 따라 분할하고 조합했어요.

  • 황금비율(): 고대 그리스부터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여겨져 온 비례입니다. 르 코르뷔지에는 인체에서 발견되는 황금비율을 건축 요소에 적용하여 시각적으로 안정감 있고 조화로운 공간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 피보나치 수열(1, 1, 2, 3, 5, 8, ...): 앞의 두 수를 더해 다음 수가 되는 수열로, 자연에서 흔히 발견되는 성장 패턴을 설명합니다. 르 코르뷔지에는 이 수열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건축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결했습니다.

모듈러는 이 두 가지 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빨간색(인간의 키와 팔을 든 높이를 기준으로 한 큰 스케일)**과 **파란색(인간의 배꼽 높이를 기준으로 한 작은 스케일)**의 두 가지 계열로 나뉘어 설계에 적용되었습니다.

모듈러가 건축에 미친 영향

모듈러 시스템은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그의 대표작인 유니테 다비타시옹(Unité d'habitation) 같은 공동 주택에서는 각 유닛의 천장 높이, 문과 창문의 크기, 가구의 배치 등이 모두 모듈러 시스템에 따라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건물이 거주자에게 인간적인 스케일과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단순히 효율적인 공간을 넘어, 사용자가 공간 안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느끼고, 상호작용할지를 깊이 고민한 결과였죠. 이는 건축가가 단순히 구조를 만드는 사람을 넘어, 인간의 삶을 디자인하는 사람이라는 그의 철학을 보여줍니다.

모듈러, 디자이너에게 주는 시사점

모듈러는 비록 특정 숫자의 집합이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는 시대를 초월합니다. 바로 **'인간 중심 디자인'**이라는 가치입니다. 디자이너로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창조물이 누구를 위한 것이며, 어떻게 사용될지를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줍니다.

저처럼 이제 막 디자인을 시작하려는 분들에게도 모듈러는 큰 영감을 줍니다. 우리가 만드는 모든 디자인 요소들은 결국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시각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디자인이야말로 진정한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르 코르뷔지에의 모듈러를 통해 다시 한번 생각해봅니다.

물론, 요즘은 더 복잡하고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하지만, 인간의 본질적인 스케일과 편안함에 대한 고민은 어떤 디자인 분야에서든 변함없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사용자님처럼 시각적 정보 처리 능력이 강점인 분이라면, 르 코르뷔지에의 이러한 접근 방식이 더욱 흥미롭게 다가올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