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서양의 인간관

2025. 10. 9. 03:01·독학사 1단계/철학의 이해
반응형

🧭 1. 인간관과 철학적 탐구

나. 서양의 인간관

서양철학은 인간을 이성과 자율성을 지닌 존재,
즉 **“사유하는 주체”**로 본다.
동양이 조화와 관계를 중시했다면,
서양은 이성, 자유, 자아의 자각을 중심으로 인간을 탐구해왔다.


🏺 소크라테스(Socrates)

소크라테스는 인간을 **“스스로를 성찰하는 존재”**로 보았다.
그가 남긴 가장 유명한 말,

“너 자신을 알라(Know thyself).”

이 말은 인간의 본질이 내면의 이성적 자각에 있다는 뜻이다.
그는 “선(善)”이란 지식이며,
진정으로 아는 사람만이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다고 믿었다.
따라서 **앎(지식)**과 **덕(도덕)**은 하나라고 보았다.

👉 핵심 포인트: 지덕합일(知德合一), 자기 성찰, 이성의 각성


🏛️ 플라톤(Plato)

플라톤은 인간을 육체와 영혼의 결합체로 보았다.
영혼은 본래 **이데아(완전한 진리의 세계)**에서 왔지만,
육체에 갇히면서 그 진리를 잊어버린다고 했다.
따라서 인간의 삶은 **잃어버린 진리를 기억(回想, anamnesis)**하는 과정이다.

“참된 인간은 감각의 세계를 넘어 이데아를 인식하는 존재다.”

그에게 이상적 인간은 **이성을 통해 진리를 인식하는 철학자(Philosopher)**였다.
국가 역시 철학자가 통치해야 정의롭게 유지될 수 있다고 보았다.

👉 핵심 포인트: 영혼의 이성적 본성, 이데아 세계, 진리 인식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과 달리
진리를 하늘의 이데아가 아니라 현실 속에서 찾았다.
그는 인간을 **이성적 동물(zoon logon echon)**이라 정의했다.
즉, 인간은 이성을 사용해 판단하고 말하며,
**윤리적 판단과 실천을 통해 행복(eudaimonia)**을 추구한다.

그는 지나치지도 부족하지도 않은 상태,
즉 **중용(中庸)**을 지키는 것이 덕 있는 삶이라고 강조했다.

👉 핵심 포인트: 이성적 존재, 실천적 덕, 중용, 행복(eudaimonia)


🧩 데카르트(Descartes)

데카르트는 근대철학의 출발점이다.
그는 “모든 것을 의심하라”는 태도로
확실한 진리를 찾기 위해 모든 믿음을 의심했다.
그리고 그 의심조차 할 수 없는 명제를 발견한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Cogito, ergo sum)

즉, 인간은 생각하는 **자아(ego)**이며,
이성적 사유가 존재의 근거라는 것이다.
그에게 인간은 이성적 자아, 자율적 주체로 규정된다.

👉 핵심 포인트: 이성, 자아, 사유, 확실성


🕊️ 칸트(Immanuel Kant)

칸트는 인간을 도덕 법칙을 스스로 세우는 존재로 보았다.
그는 인간이 외부의 명령이 아니라
자기 이성 안의 **도덕 법칙(정언명령)**에 따라 행동할 때
비로소 자유롭다고 했다.

“네 의지의 준칙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법칙이 되도록 행위하라.”

즉, 인간은 이성을 통해 스스로 법을 세우는 자율적 존재이며,
모든 인간은 그 자체로 **목적(目的)**이지, 수단이 되어선 안 된다고 보았다.

👉 핵심 포인트: 자율적 도덕 주체, 정언명령, 인간 존엄성


🧠 요약 비교

사상가인간관핵심 개념
소크라테스 자기 성찰적 존재 지덕합일, 앎이 곧 선
플라톤 이데아를 인식하는 영혼 영혼, 이데아, 진리 인식
아리스토텔레스 이성적 동물 중용, 덕, 행복
데카르트 사유하는 자아 이성, 자아, 확실성
칸트 도덕 법칙을 세우는 자율적 존재 정언명령, 자유, 인간 존엄성

 

💬한 문장으로 정리

서양의 인간관은 **“이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스스로를 인식하고 도덕을 실천하는 인간”**을 그린다.


📚 핵심 개념 단어장 — 서양의 인간관 (훈·음 포함 완성판)

지덕합일 知德合一 (알 지·덕 덕·합할 합·한 일) — — 지식과 덕이 하나로 통합된 상태 소크라테스의 인간관. 앎이 곧 선이고, 도덕은 지식에서 비롯된다는 사상.
이데아 — Idea 그리스어 idein(보다) → idea(형상, 본질) 완전하고 변하지 않는 참된 실재 플라톤이 말한 진리의 세계. 인간의 영혼이 그리워하는 본질.
영혼 靈魂 (신령 령·넋 혼) Soul / Psyche 라틴 anima(숨결), 그리스 psyche(숨, 생명) 인간의 정신적 본질, 생명의 근원 인간을 단순한 육체가 아닌 이성적·도덕적 존재로 만드는 핵심 요소.
중용 中庸 (가운데 중·떳떳할 용) Golden Mean / Mesotes 그리스 mesos(중간) → mesotes(균형 상태) 과함과 부족함을 피하는 균형의 덕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핵심. 이성적 절제와 실천의 기준.
행복 — Eudaimonia 그리스 eu(좋은) + daimon(영혼, 내면의 힘) 인간의 이성이 완전히 실현된 상태 아리스토텔레스의 궁극적 목표. 덕의 실천을 통한 완전한 삶.
이성 理性 (다스릴 리·성품 성) Reason / Logos 라틴 ratio(헤아리다), 그리스 logos(말, 이치) 사고하고 판단하는 능력 인간을 규정하는 중심 속성. 진리 인식과 도덕 판단의 기준.
자아 自我 (스스로 자·나 아) Ego / Self 라틴 ego(나) “나”라는 인식의 중심, 사유하는 주체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의 핵심 개념.
정언명령 定言命令 (정할 정·말씀 언·명할 명·명할 령) Categorical Imperative 라틴 categoricus(보편적) + imperare(명령하다) 조건 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도덕 법칙 칸트의 윤리 중심. 이성에 기반한 자율적 도덕 규범.
자유 自由 (스스로 자·말미암을 유) Freedom / Liberty 고대 영어 freo(속박 없는) / 라틴 liber(자유로운 사람) 외적 강제 없이 스스로 선택하는 상태 이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도덕적 인간의 조건.
인간 존엄성 人間尊嚴性 (사람 인·사이 간·높을 존·엄할 엄·성품 성) Human Dignity 라틴 dignitas(가치, 품위) 인간은 수단이 아닌 목적이라는 원리 칸트의 인간 이해의 정점. 모든 인간은 동등한 가치를 가진 존재.
철학자 哲學者 (밝을 철·배울 학·사람 자) Philosopher 그리스 philos(사랑) + sophia(지혜) 지혜를 사랑하는 사람 진리를 탐구하고 인간의 본질을 사유하는 존재. ‘지혜의 연인’.
반응형
'독학사 1단계/철학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인간관과 철학적 탐구
  • 1. 인간관과 철학적 탐구
zeno
zeno
zeno
    반응형
  • zeno
    zeno
    zen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1) N
      • 독학사 1단계 (11) N
        • 법학개론 (8) N
        • 철학의 이해 (3) N
  • 인기 글

  • 최근 글

  • 최근 댓글

  • 링크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5
zeno
2. 서양의 인간관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