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타입 모형이란?

2025. 10. 10. 01:32·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오늘의 실시간 핫딜

반응형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프로토타입 모형 (Prototype Model)

**프로토타입 모형(試作品模型, Prototype Model)**은
시스템을 완성하기 전에 **시제품(試作品)**을 먼저 만들어
사용자의 의견과 요구를 반영하면서
점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반복적 개발 방법론이다.

즉, “먼저 만들어 보고, 확인하면서 고쳐 나가는 개발 방식”이다.


1. 개념 설명

요구사항이 불분명하거나, 사용자의 요구가 자주 변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완벽한 설계를 하기 어렵다.

이때 개발자는 **프로토타입(시제품)**을 간단히 구현해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사용자는 실제 화면과 기능을 직접 체험하며
“이건 필요하다, 저건 바꾸자” 식의 피드백을 준다.
개발자는 그 의견을 반영해 프로토타입을 수정하고 보완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요구사항이 명확해지고,
최종적으로 완성된 시스템이 만들어진다.

결국, 프로토타입 모형은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만들어 가는 모델이다.


2. 개발 절차

① 요구사항 수집 – 사용자의 대략적인 요구를 파악한다.
② 프로토타입 설계 및 구현 – 핵심 기능만 포함한 간단한 시제품을 만든다.
③ 사용자 검토 및 평가 – 사용자가 직접 시제품을 체험하고 의견을 제시한다.
④ 프로토타입 수정 및 보완 – 피드백을 반영해 기능과 화면을 개선한다.
⑤ 최종 시스템 개발 – 확정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실제 시스템을 완성한다.

이 절차는 한 번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개선 → 검토 → 재개발’**의 반복을 전제로 한다.


3. 특징

  • 사용자 참여형 모델 – 사용자가 개발 과정에 직접 참여한다.
  • 요구 명확화 –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요구사항을 구체화한다.
  • 반복 개발 구조 – 시제품을 여러 번 수정하면서 완성도를 높인다.
  • 유연한 변경 대응 – 요구 변경이나 설계 수정이 용이하다.
  • 피드백 중심 개발 – 결과물을 토대로 즉각적인 개선이 이루어진다.

4. 장점

  • 요구사항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 사용자 만족도가 높다.
  • 오류나 누락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 개발 방향이 명확해진다.


5. 단점

  • 잦은 수정으로 개발 기간이 늘어날 수 있다.
  • 시제품을 완성품으로 오해해 요구가 과도하게 늘어날 수 있다.
  • 문서화가 부족하여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6. 적용 예시

프로토타입 모형은
UI 중심, 사용자의 체험이 중요한 웹·모바일 앱 개발이나
요구사항이 명확하지 않은 신규 서비스 기획 단계에서 자주 사용된다.

예: 앱 초기 화면, 메뉴 흐름, 로그인·검색 기능 시연용 시제품 등

반면에 금융·의료·국방처럼
정확한 사양과 안정성이 절대적인 시스템에는 부적합하다.


7. 핵심 정리 문장 (시험형 정의)

“프로토타입 모형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시제품 형태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피드백을 반영하면서 개선하는 반복적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시험 포인트는 다음 네 가지다:
시제품, 사용자 참여, 요구 명확화, 반복적 개발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 뜻풀이)

소프트웨어(Software)
영어 soft(부드러운) + ware(제품)
: 형태가 없는 논리적 명령 집합,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지적 구조물.

개발(開發) / Development
열 개(開), 필 발(發)
: 잠재된 능력이나 기능을 열어 드러냄. 영어 develop은 라틴어 developere(풀다, 전개하다)에서 유래.

방법론(方法論) / Methodology
모 방(方), 법 법(法), 논할 론(論)
: 문제 해결을 위한 절차적 사고 체계. 영어 methodos(길을 따름)에서 유래.

프로토타입(試作品) / Prototype
시험할 시(試), 지을 작(作), 물건 품(品)
: 시험적으로 만든 첫 번째 형태. 영어 proto(처음) + typos(형태, 틀)에서 유래.

요구사항(要求事項) / Requirement
구할 요(要), 구할 구(求), 일 사(事), 항목 항(項)
: 사용자가 시스템에 바라는 기능이나 조건. 영어 require는 라틴어 requirere(다시 찾다, 요구하다)에서 유래.

반복(反復) / Iteration
돌이킬 반(反), 겹칠 복(復)
: 같은 일을 되풀이하는 행위. 영어 iterate는 라틴어 iterare(다시 하다)에서 유래.

피드백(Feedback)
영어 feed(공급하다) + back(되돌리다)
: 결과를 원인으로 되돌려 개선하는 행위.

사용자(使用者) / User
쓸 사(使), 쓸 용(用), 놈 자(者)
: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는 사람. 영어 use는 라틴어 uti(쓰다, 활용하다)에서 유래.

 

https://cacu.kr/ZGdw0X

 

2025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본서 1~2권 | 윤영빈

 

deg.kr

https://cacu.kr/J6lkVf

 

2025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문제집 | 길벗알앤디

 

deg.kr

https://cacu.kr/q9R1G4

 

2025 흥달쌤의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프로그래밍언어 | 이흥직

 

deg.kr

 

반응형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크럼 기법 (Scrum)  (0) 2025.10.10
🧭 애자일 방법론 (Agile Methodology)  (0) 2025.10.10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Software Life Cycle)  (0) 2025.10.10
🧭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  (0) 2025.10.10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테일러링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Tailoring)  (0) 2025.10.10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애자일 방법론 (Agile Methodology)
  •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Software Life Cycle)
  • 🧭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
  •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테일러링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Tailoring)
zeno
zeno
ZENO 블로그는 배움을 구조화하는 공간입니다. 프론트엔드와 웹 퍼블리싱, 디자인부터 자격증·독학사·학점은행제, 그리고 책과 일상까지. 지식을 실무로, 이론을 현실로 바꾸는 모든 여정을 기록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 zeno
    zeno
    zen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1) N
      • 작업물 (0)
      • 독학사 1단계 (11) N
        • 법학개론 (8) N
        • 철학의 이해 (3) N
      • Web (1) N
        • HTML (0)
        • CSS (0)
        • Javascript (0)
        • React (0)
        • TIP (1) N
      • Graphic (0)
        • Blender (0)
        • After Effect (0)
        • Illustrator (0)
        • Photoshop (0)
      • 자격증 (7) N
        • 사진기능사 실기 (0)
        • 정보처리기사 실기 (7) N
      • 홍보 (0)
        • 책 추천 (0)
        • 제품 추천 (0)
        • 이벤트 (0)
      • 이슈 (2) N
        • 엔터 (0)
        • 스포츠 (0)
        • 정치 (1) N
        • 경제 (1) N
        • 국제 (0)
        • 과학, IT (0)
  • Its skin name is hELLO. Customized by 곽진성 Original designed by 정상우 Click here for the link to this skin
zeno
프로토타입 모형이란?
상단으로
  • 한국어
    English
    汉语(简体)
    漢語(繁體)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