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Database)란?
데이터베이스(Database) 는 단순한 저장 공간이 아니라,
조직이나 시스템이 사용하는 모든 데이터(Data) 를 체계적으로 저장·관리·활용하기 위한 구조적 시스템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의 개념, DBMS의 필수 기능, 데이터의 독립성과 스키마 구조까지
정처기 실기 수준으로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개요
데이터베이스(Database) 란
여러 사용자가 공유(共有) 하고 활용(活用) 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 입니다.
즉, 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 언제든 정확하고 빠르게 꺼내 쓸 수 있도록 구조화된 형태로 저장한 것이 바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 핵심 문장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관리·검색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보 저장 시스템이다.
💾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
데이터 저장소는 데이터를 모아두는 물리적 또는 논리적 공간입니다.
파일 시스템처럼 단순히 쌓아두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간 관계를 유지하면서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엑셀 파일은 단순 데이터 저장 형태지만,
데이터베이스는 이를 정의·제어·보안·검색·복구까지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Database)
데이터베이스의 핵심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통합된 데이터(Integrated Data) — 중복을 최소화한 통합된 형태의 데이터
2️⃣ 저장된 데이터(Stored Data) — 컴퓨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항상 접근 가능한 데이터
3️⃣ 공유된 데이터(Shared Data)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 가능한 데이터
4️⃣ 운영 데이터(Operational Data) — 조직의 업무 수행에 실시간으로 활용되는 데이터
즉, 데이터베이스는 효율성과 일관성을 보장하는 중앙 집중형 데이터 관리 체계입니다.
🧩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은
데이터베이스를 정의·저장·검색·수정·삭제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즉, 사용자는 DBMS를 통해 데이터를 다루며,
DBMS가 내부적으로 파일 저장·검색·보안·백업 등을 수행합니다.
대표적인 DBMS에는 Oracle, MySQL, PostgreSQL, SQL Server 등이 있습니다.
📘 정리 문장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사용자와 데이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 DBMS의 필수 기능 3가지
DBMS는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 보안(Security), 일관성(Consistency) 을 유지해야 합니다.
그 핵심 기능 세 가지를 기억해두세요.
첫째, 정의 기능(Definition Function)
데이터의 구조(Structure)와 관계(Relationship)를 정의합니다.
→ 데이터의 형식, 제약조건, 테이블 구조 등을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둘째, 조작 기능(Manipulation Function)
사용자가 데이터를 삽입·삭제·수정·조회할 수 있도록 합니다.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기능입니다.
셋째, 제어 기능(Control Function)
데이터의 무결성, 보안, 동시성, 회복을 관리합니다.
→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접근해도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통제합니다.
📍 핵심 문장
DBMS는 데이터의 정의, 조작, 제어 세 가지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일관성과 보안을 유지한다.
💡 데이터의 독립성(Data Independence)
데이터베이스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데이터의 독립성입니다.
데이터의 독립성이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Logical Structure) 나 물리적 구조(Physical Structure) 가 변경되더라도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데이터 구조를 바꿔도 프로그램은 그대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독립성은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① 논리적 독립성(Logical Independence)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테이블, 필드 등)가 변경되어도
응용 프로그램이 영향을 받지 않는 성질입니다.
② 물리적 독립성(Physical Independence)
저장 장치나 파일 구조 등 물리적 저장 방식이 바뀌어도
논리적 데이터 구조나 프로그램에 영향이 없는 성질입니다.
📘 핵심 문장
데이터의 독립성은 데이터 구조 변경 시에도 응용 프로그램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핵심 원리이다.
🧱 스키마(Schema)
스키마(Schema) 는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구조와 설계도를 정의한 메타데이터(Metadata) 입니다.
즉, 데이터가 어떤 구조로 저장되고, 어떤 관계를 맺는지를 나타내는 설계도입니다.
스키마는 3단계 구조로 구분됩니다.
① 외부 스키마(External Schema)
사용자 관점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조.
→ 각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이 보는 “맞춤형 뷰(View)”
② 개념 스키마(Conceptual Schema)
조직 전체 관점에서의 데이터베이스 전체 구조.
→ 모든 데이터의 논리적 구조와 관계 정의
③ 내부 스키마(Internal Schema)
물리적 저장 관점에서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식.
→ 인덱스, 파일 구조, 접근 경로 등 포함
📘 핵심 문장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설계도이며, 외부·개념·내부 스키마의 3단계 구조로 구성된다.
🧾 정처기 실기 핵심 정의 문장
“데이터베이스는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소이며,
DBMS는 데이터를 정의·조작·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데이터의 독립성은 구조 변경 시 응용 프로그램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성질이며,
스키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정의하는 설계도이다.”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데이터(資料) / Data
재물 자(資), 헤아릴 료(料) — 사실이나 개념을 표현한 값.
데이터베이스(資料庫) / Database
재물 자(資), 곳집 고(庫) —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한 창고.
관리(管理) / Management
맡을 관(管), 다스릴 리(理) — 자원을 효율적으로 통제함.
독립성(獨立性) / Independence
홀로 독(獨), 설 립(立), 성품 성(性) —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 성질.
구조(構造) / Structure
얽을 구(構), 지을 조(造) — 구성된 형태나 조직적 틀.
✨ 결론 요약
✅ 데이터베이스(Database) 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관리·공유하기 위한 체계적 저장소이며,
DBMS 가 이를 정의·조작·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핵심 개념은 데이터의 독립성과 스키마 구조,
그리고 DBMS의 3대 기능(정의·조작·제어)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