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XP, eXtreme Programming)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XP, eXtreme Programming)**익스트림 프로그래밍(XP)**은변화가 잦고 요구사항이 불확실한 프로젝트 환경에서품질을 높이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애자일(Agile) 개발 방법론이다.XP는 팀워크, 소통, 단순성, 피드백을 핵심 가치로 삼으며짧은 개발 주기마다 테스트와 개선을 반복하여안정적이고 품질 높은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초점을 둔다.1. 개념 설명익스트림 프로그래밍(Extreme Programming)의 "Extreme(극한)"이라는 말은,소프트웨어 개발의 좋은 습관을 극한까지 강화한다는 뜻에서 비롯됐다.예를 들어,코드 리뷰(Code Review)는 “모든 코드를 두 사람이 함께 본다”(짝 프로그래밍).테스트(Test)는 “모든 코드를 작성하..
🧭 스크럼 기법 (Scrum)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스크럼 기법 (Scrum)**스크럼(Scrum)**은 애자일(Agile) 방법론의 한 형태로,**짧은 개발 주기(Sprint)**를 반복하며팀원 간의 협력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법이다.즉, 복잡한 프로젝트를 짧은 반복 주기로 나누어 관리하고,팀이 스스로 계획·실행하며,매일 소통을 통해 목표를 조정해 나가는 팀 중심의 애자일 실천 방법이다.1. 개념 설명‘Scrum’이라는 단어는 원래 럭비 경기에서 선수들이 공을 몰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뭉치는 장면에서 유래했다.이처럼 스크럼 기법은 팀워크·소통·협력을 핵심 가치로 한다.전통적인 폭포수 개발처럼계획 → 설계 → 구현 → 테스트를 일방적으로 진행하지 않고,2~4주 단위의 짧은 개발 주기인 **스프린트(Sprint)**를 반복하면서작은..
🧭 애자일 방법론 (Agile Methodology)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애자일 방법론 (Agile Methodology)**애자일(Agile) 방법론(方法論)**은변화가 많은 환경에서 빠르고 유연하게(柔軟하게) 대응하기 위해개발 과정을 **짧은 주기(短週期)**로 반복하며사용자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완성하는 개발 방법론이다.즉, “처음부터 완벽하게 계획하기보다,만들면서 빠르게 검증하고 개선하는 방식”이다.1. 개념 설명‘Agile’은 영어로 ‘날렵한, 민첩한’이라는 뜻이다.이 단어처럼 애자일 방법론은기존의 **폭포수 모형(Waterfall)**처럼단계를 한 번에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는다.대신 개발을 **작은 단위(Iteration, 반복 주기)**로 나누고,각 주기마다 설계 → 개발 → 테스트 → 피드백 과정을 반복한다.매 사이클이 끝날 때마다사용자나..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Software Life Cycle)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Software Life Cycle)**소프트웨어 생명주기(軟體生命週期)**란소프트웨어가 처음 만들어져서 폐기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분한 단계를 말한다.즉, “소프트웨어의 탄생부터 소멸까지의 생애를 관리하는 절차적 과정”이다.이 개념은 ‘개발’에만 국한되지 않고,계획 →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 폐기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포함한다.1. 개념 설명소프트웨어는 한 번 만들고 끝나는 제품이 아니다.시간이 지나면 요구사항이 바뀌고, 기술도 발전하고, 오류도 발견된다.따라서 체계적으로 개발하고,개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하며,최종적으로 폐기까지 관리하는 하나의 **“순환 구조(Cycle)”**를 가진다.이 일련의 과정을 단계별로 정의한 것이 바..
프로토타입 모형이란?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 프로토타입 모형 (Prototype Model)**프로토타입 모형(試作品模型, Prototype Model)**은시스템을 완성하기 전에 **시제품(試作品)**을 먼저 만들어사용자의 의견과 요구를 반영하면서점진적으로 완성해 나가는 반복적 개발 방법론이다.즉, “먼저 만들어 보고, 확인하면서 고쳐 나가는 개발 방식”이다.1. 개념 설명요구사항이 불분명하거나, 사용자의 요구가 자주 변하는 경우에는처음부터 완벽한 설계를 하기 어렵다.이때 개발자는 **프로토타입(시제품)**을 간단히 구현해사용자에게 보여준다.사용자는 실제 화면과 기능을 직접 체험하며“이건 필요하다, 저건 바꾸자” 식의 피드백을 준다.개발자는 그 의견을 반영해 프로토타입을 수정하고 보완한다.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요구..
🧭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는개발자가 일정한 구조와 규칙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공통 기능과 아키텍처를 미리 구성해둔 개발 환경이다.쉽게 말하면 “프로그램의 뼈대(骨格)”이자 “개발을 돕는 틀”이다.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구조 안에서 개발자는비즈니스 로직(핵심 기능)만 집중적으로 작성하면 된다.1. 프레임워크의 주요 목적개발 생산성 향상: 반복적인 코드 작성을 줄이고, 재사용 가능한 구조 제공품질 향상: 검증된 표준 구조로 버그와 오류 감소유지보수성 향상: 모듈화된 구조로 수정·확장 용이표준화: 팀이나 조직 단위로 동일한 개발 방식 확보2. 프레임워크의 핵심 특성 (정처기 시험 핵심 포인트)①..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테일러링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Tailoring)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테일러링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Tailoring)테일러링이란 조직이 보유한 표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프로젝트의 규모, 복잡도, 환경, 위험도, 일정, 인력 구성 등에 맞게수정·보완하거나 생략하는 과정을 말한다.모든 프로젝트가 동일한 절차를 따를 수는 없다.대형 프로젝트는 체계적 절차가 필요하지만,소규모 프로젝트는 속도와 유연성이 중요하다.그래서 표준 프로세스를 그대로 쓰지 않고,프로젝트 특성에 맞게 “맞춤 조정”하는 행위가 바로 테일러링이다.1. 개념테일러링(Tailoring)은 영어 단어 Tailor(재단하다, 맞추다)에서 유래했다.옷을 사람의 체형에 맞게 고치는 것처럼,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프로젝트에 맞게 재구성한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