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

2025. 10. 11. 00:58·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오늘의 실시간 핫딜

반응형

🧭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

**요구사항(要求事項)**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기대하는 기능과 조건을 문서로 정리한 것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기초로,
요구사항이 잘못 정의되면 이후의 설계·구현·테스트가 모두 흔들리게 된다.

요구사항은 크게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으로 나뉜다.
두 개념은 시스템의 “무엇을 할 것인가”와 “어떻게 할 것인가”를 구분하는 기준이다.


1. 기능 요구사항 (Functional Requirement)

**기능 요구사항(機能要求事項)**은
시스템이 수행해야 하는 행동이나 작업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이다.
즉, 시스템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What)”에 초점을 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어야 하고,
상품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결제 버튼을 누르면 결제 내역이 저장되고,
관리자는 회원 정보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기능 요구사항은 시스템의 입력, 처리, 출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작을 정의한 내용이다.
결과적으로 “이 시스템이 실제로 하는 일”을 설명하는 것이다.


2. 비기능 요구사항 (Non-Functional Requirement)

**비기능 요구사항(非機能要求事項)**은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가(How)”에 대한 품질적 조건이나 제약을 정의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하루 10만 명의 동시 접속을 처리해야 한다(성능).
비밀번호는 반드시 암호화되어 저장되어야 한다(보안).
서버 장애 발생 시 10초 이내에 복구되어야 한다(신뢰성).
모바일에서도 동일한 사용성이 보장되어야 한다(편의성).

즉, 비기능 요구사항은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과 품질을 정하는 것이다.
시스템의 효율, 보안, 안정성, 유지보수성, 확장성, 사용성 등을 포함한다.


3. 핵심 구분 정리

정리하면,
기능 요구사항은 시스템이 수행해야 하는 행위이고,
비기능 요구사항은 그 행위를 얼마나 잘 수행해야 하는가를 정의한다.

기능 요구사항은 시스템의 ‘기능적 행위’를 명시하며,
비기능 요구사항은 시스템의 ‘품질적 속성’을 규정한다.

결국,
기능 요구사항이 “시스템의 뼈대”라면,
비기능 요구사항은 “그 뼈대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과 성격”에 해당한다.


4. 시험형 정의 문장

기능 요구사항은 시스템이 수행해야 하는 서비스나 동작을 기술한 것이며,
비기능 요구사항은 시스템의 성능, 보안, 안정성, 사용성 등
동작 방식과 품질 수준을 정의한 것이다.

시험 키워드로는
기능 = 동작, 처리, 서비스,
비기능 = 성능, 품질, 보안, 안정성, 사용성, 제약 조건을 기억하면 된다.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 뜻풀이)

요구사항(要求事項) / Requirement
구할 요(要), 구할 구(求), 일 사(事), 항목 항(項)
: 사용자가 시스템에 바라는 기능과 조건. 영어 require는 라틴어 requirere(다시 찾다, 요구하다)에서 유래.

기능(機能) / Function
틀 기(機), 능할 능(能)
: 어떤 목적을 수행하는 작용. 영어 function은 라틴어 fungi(역할을 하다)에서 유래.

비기능(非機能) / Non-Function
아닐 비(非), 틀 기(機), 능할 능(能)
: 동작이 아닌 품질적 특성이나 제약 조건을 의미.

성능(性能) / Performance
성품 성(性), 능할 능(能)
: 주어진 자원 내에서 발휘되는 처리 능력. 영어 performare(형태를 완성하다)에서 유래.

보안(保安) / Security
지킬 보(保), 편안할 안(安)
: 시스템과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행위. 영어 secure는 라틴어 securus(걱정 없는)에서 유래.

안정성(安定性) / Stability
편안할 안(安), 정할 정(定), 성품 성(性)
: 오랜 시간 변동 없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성질. 영어 stabilis(단단히 선)에서 유래.

확장성(擴張性) / Scalability
넓힐 확(擴), 펼 장(張), 성품 성(性)
: 시스템이 증가된 부하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

사용성(使用性) / Usability
쓸 사(使), 쓸 용(用), 성품 성(性)
: 사용자가 시스템을 얼마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특성.

품질(品質) / Quality
물건 품(品), 바탕 질(質)
: 사물이나 서비스의 성능과 본래의 수준. 영어 qualis(어떠한 종류의)에서 유래.


 

반응형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구사항 명세 기법 (Requirements Specification Techniques)  (0) 2025.10.11
요구공학 (Requirements Engineering)  (0) 2025.10.11
하드웨어 구성 파악과 이중화(二重化) – 서버는 왜 ‘복제’를 두려워하지 않는가  (0) 2025.10.11
현행 시스템을 파악하는 과정 – 구조를 읽고, 논리를 해부하다  (0) 2025.10.11
XP(eXtreme Programming) 개발방법론: “극단의 단순함으로 품질을 높이다”  (0) 2025.10.11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요구사항 명세 기법 (Requirements Specification Techniques)
  • 요구공학 (Requirements Engineering)
  • 하드웨어 구성 파악과 이중화(二重化) – 서버는 왜 ‘복제’를 두려워하지 않는가
  • 현행 시스템을 파악하는 과정 – 구조를 읽고, 논리를 해부하다
zeno
zeno
ZENO 블로그는 배움을 구조화하는 공간입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 zeno
    zeno
    zen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7) N
      • 작업물 (0)
      • 독학사 1단계 (11) N
        • 법학개론 (8) N
        • 철학의 이해 (3) N
      • Web (1) N
        • HTML (0)
        • CSS (0)
        • Javascript (0)
        • React (0)
        • TIP (1) N
      • Graphic (0)
        • Blender (0)
        • After Effect (0)
        • Illustrator (0)
        • Photoshop (0)
      • 자격증 (13) N
        • 사진기능사 실기 (0)
        • 정보처리기사 실기 (13) N
      • 홍보 (0)
        • 책 추천 (0)
        • 제품 추천 (0)
        • 이벤트 (0)
      • 이슈 (2) N
        • 엔터 (0)
        • 스포츠 (0)
        • 정치 (1) N
        • 경제 (1) N
        • 국제 (0)
        • 과학, IT (0)
  • Its skin name is hELLO. Customized by 곽진성 Original designed by 정상우 Click here for the link to this skin
zeno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
상단으로
  • 한국어
    English
    汉语(简体)
    漢語(繁體)
    日本語
    ภาษาไทย
    tiếng Việt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