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학 개발 방법론(情報工學開發方法論)**은
기업의 전략적 정보 시스템(Strategic Information System) 을 구축하기 위해
데이터(Data) 중심으로 정보 시스템을 개발·관리하는 방법론이다.
즉, 조직 전체의 비전과 목표를 기반으로
데이터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계하여,
정보 시스템을 통합적(Integrated) 으로 개발하는 모델 중심의 방법론이다.
1. 개념 설명
전통적인 개발 방법론(예: 폭포수 모형)은
“프로그램 중심” 또는 “프로세스 중심”으로 접근했다.
반면, 정보공학(Information Engineering, IE)은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중심”으로 접근한다.
즉,
“조직의 데이터 구조를 먼저 정의하고,
그 위에 응용 시스템(Application System)을 구축하는 상향적(Top-Down) 개발 방법론”이다.
그래서 정보공학 방법론은 “데이터 중심(Data-Centered)” 또는 “모델 중심(Model-Driven)” 접근법이라고도 불린다.
2. 목적
정보공학 방법론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기업 전체의 정보 자원을 통합적·체계적으로 관리
- 데이터 중복(Data Redundancy) 을 줄이고 일관성 유지
- 업무 프로세스와 데이터 간의 관계를 명확히 분석
- 정보 시스템의 전략적 활용으로 의사결정 지원
- 기업의 정보 구조를 표준화하고 재사용 가능한 모델 구축
즉, 단일 프로그램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데이터와 업무를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핵심이다.
3. 정보공학 방법론의 특징
1️⃣ 데이터 중심 접근(Data-Centered Approach)
시스템 개발의 핵심을 ‘데이터 구조(Data Structure)’에 둔다.
프로세스보다 데이터를 우선 설계한다.
2️⃣ 모델 기반(Model-Based)
모든 것을 ‘모델(표준화된 도식)’로 표현하여 분석하고 설계한다.
즉,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시각적으로 구조화한다.
3️⃣ 상향식(Top-Down) 접근법
조직의 비전 → 업무 프로세스 → 데이터 구조 → 응용 시스템 순으로 설계한다.
4️⃣ 전사적 관점(Enterprise-Wide Perspective)
개별 부서가 아니라 기업 전체의 정보 시스템을 하나의 구조로 통합한다.
5️⃣ CASE 도구 활용
정보공학은 CASE(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 도구와 함께 쓰이며,
모델링·코드 생성·문서화 등을 자동화할 수 있다.
4. 정보공학 방법론의 4단계 (일반 구조)
정보공학은 일반적으로 다음 네 단계로 구성된다.
각 단계는 기업의 정보 구조를 점진적으로 구체화한다.
1️⃣ 정보 전략 계획(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ISP)
기업의 목표와 전략을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 시스템의 방향을 정의한다.
→ “무엇을 위한 시스템인가?”
2️⃣ 업무 영역 분석(Business Area Analysis, BAA)
주요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데이터와 프로세스 간 관계를 식별한다.
→ “업무가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3️⃣ 시스템 설계(System Design)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 흐름,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설계한다.
→ “시스템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4️⃣ 구현 및 유지보수(Construction & Maintenance)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스템을 운용하며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 “시스템이 운영 중에도 진화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5. 정보공학 방법론에서 사용하는 주요 기법
- 자료흐름도(DFD, Data Flow Diagram)
업무 프로세스 간 데이터 흐름을 시각화. - 자료사전(DD, Data Dictionary)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데이터 요소의 정의를 관리. - ER 다이어그램(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데이터 간의 관계(엔터티·속성·연관)를 표현. - 구조적 설계(Structured Design)
기능별로 모듈화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임.
이 도구들은 모두 “데이터 중심” 철학을 시각화한 것들이며,
CASE 도구와 결합되어 자동화 개발에 사용된다.
6. 장점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0 개정) 제대로 배우기 Part.1
deg.kr
- 기업 전반의 데이터 일관성 확보
- 중복 데이터 제거로 관리 효율성 향상
- 시스템 구조의 표준화 및 재사용 용이
- 정보 전략과 IT 시스템 간의 연계 강화
- CASE 도구 활용을 통한 개발 생산성 향상
7. 단점
- 초기 분석과 설계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든다.
- 모든 업무를 데이터 중심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 조직 전체를 통합하려면 경영층의 강력한 지원이 필요하다.
8. 정처기 실기 정의 문장
“정보공학 개발 방법론은 기업의 전략적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해
데이터 중심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조직 전체의 정보 자원을 통합적으로 분석·설계·구현하는 상향식 개발 방법론이다.”
시험 키워드:
데이터 중심, 상향식, 통합, 모델 기반, 전사적 시스템, 정보전략계획(ISP), ERD, DFD, CASE 도구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 뜻풀이)
정보(情報) / Information
알릴 정(情), 갚을 보(報)
: 의미 있는 형태로 정리된 데이터. 영어 informare(형태를 주다, 알리다)에서 유래.
공학(工學) / Engineering
장인 공(工), 배울 학(學)
: 과학적 원리를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학문.
방법론(方法論) / Methodology
모 방(方), 법 법(法), 논할 론(論)
: 체계적 절차와 원리를 정리한 개발 접근법.
데이터(資料) / Data
재물 자(資), 헤아릴 료(料)
: 사실이나 개념을 표현한 값.
모델링(模型化) / Modeling
본뜰 모(模), 모형 형(型), 될 화(化)
: 현실 시스템의 구조나 관계를 단순화해 표현하는 행위.
상향식(上向式) / Top-Down
위 상(上), 향할 향(向), 법 식(式)
: 상위 개념에서 하위 단계로 점진적으로 세분화하는 접근법.
통합(統合) / Integration
거느릴 통(統), 합할 합(合)
: 여러 요소를 하나로 묶어 일관된 체계를 만드는 것.
1️⃣ 정보 전략 계획 수립 단계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ISP)
핵심 질문:
“우리 회사(조직)는 왜, 어떤 방향으로 정보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가?”
이 단계는 정보공학 방법론의 출발점이자,
기업의 경영 목표와 IT 전략을 연결(Align) 하는 단계다.
즉, 기업의 비전·목표·사업 전략을 분석하여
이에 맞는 정보시스템 구축 방향과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주요 활동
- 기업의 비전과 전략적 목표 분석
- 현재 정보시스템(As-Is) 환경 진단
- 정보 자원(인력·데이터·기술) 파악
- 향후 정보화 추진 방향(To-Be) 설정
-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ISMP, Master Plan) 수립
주요 산출물
- 정보 전략 계획서(ISP 문서)
- 정보 아키텍처 모델(Information Architecture)
- 정보시스템 추진 로드맵(Roadmap)
핵심 포인트:
이 단계는 기업의 전략 → IT 전략으로 연결되는 상위 기획 단계이며,
“무엇을 위한 시스템인가?”를 정의한다.
2️⃣ 업무 영역 분석 단계 (Business Area Analysis, BAA)
핵심 질문:
“각 부서(업무)는 어떤 데이터를 다루며, 어떤 프로세스로 운영되는가?”
이 단계에서는 기업의 전체 업무 영역을 분석하여
업무 프로세스(業務流程) 와 데이터 구조(資料構造) 간의 관계를 도출한다.
즉,
업무가 어떤 데이터를 입력·처리·출력하는지를 명확히 정의하여
정보시스템 개발의 논리적 기초를 마련한다.
주요 활동
- 업무 흐름 분석(Flow Analysis)
- 업무 프로세스 식별 및 분류
- 데이터 흐름 분석(DFD 작성)
- 엔터티 관계 정의(ERD 작성)
- 업무-데이터 매트릭스(Business-Data Matrix) 작성
주요 산출물
- 업무 흐름도(Flow Diagram)
- 자료흐름도(DFD)
- 엔터티 관계도(ERD)
- 데이터 정의서(Data Definition Document)
핵심 포인트:
이 단계는 ‘무엇을 처리하고, 어떤 데이터가 필요한가’를 정의하는 분석 단계이며,
시스템 구축의 논리적 기반(Logical Model)을 만든다.
3️⃣ 업무 시스템 설계 단계 (System Design)
핵심 질문:
“정보시스템은 어떤 구조로 설계되고,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가?”
이 단계에서는 앞 단계에서 도출된 논리 모델을
실제 시스템 구조로 변환한다.
즉, 시스템이 어떻게 구현될지를 설계하는 단계로,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 구조, 화면(UI), 입·출력 형태 등을 구체화한다.
주요 활동
-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System Architecture Design)
- 데이터베이스 설계(DB Schema Design)
- 응용 프로그램 구조 설계(Application Architecture)
-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및 보고서 설계
- 시스템 통합(Integration) 설계
주요 산출물
- 시스템 설계서(System Design Document)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DB Schema)
- 프로그램 명세서(Program Specification)
- UI 설계 문서, 출력 양식 설계서
핵심 포인트:
이 단계는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를 정의하는 물리적 설계 단계,
즉 개발의 청사진(設計圖)이다.
4️⃣ 업무 시스템 구축 단계 (System Construction / Implementation)
핵심 질문:
“설계된 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하고 운영할 수 있는가?”
이 단계는 정보공학 방법론의 실행(Execution) 단계다.
앞서 정의된 설계서를 기반으로 실제 시스템을 개발하고 통합한다.
주요 활동
- 프로그램 코딩 및 단위 테스트(Unit Test)
- 통합 테스트(Integration Test) 및 시스템 테스트(System Test)
-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이행(Migration)
- 사용자 교육(User Training)
- 시스템 운영(Operation) 및 유지보수(Maintenance)
주요 산출물
-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 테스트 결과서(Test Report)
- 사용자 매뉴얼(User Manual)
- 운영 절차서(Operation Guide)
핵심 포인트:
이 단계는 설계된 모델을 현실화하는 구현 단계이며,
CASE 도구나 자동화 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단계별 요약 흐름
1️⃣ 정보 전략 계획 수립 → “무엇을 위해 시스템을 만든다.”
2️⃣ 업무 영역 분석 → “무슨 데이터를 다루고 어떤 업무를 처리한다.”
3️⃣ 업무 시스템 설계 → “어떤 구조로, 어떤 방식으로 동작한다.”
4️⃣ 업무 시스템 구축 → “이제 그걸 실제로 만든다.”
즉,
전략(Plan) → 분석(Analyze) → 설계(Design) → 구축(Implement)
이 4단계가 정보공학 방법론의 핵심 골격이다.
🏷️ 해시태그 정리
#정보공학방법론
#InformationEngineering
#IE
#데이터중심개발
#정처기실기
#소프트웨어공학
#상향식접근
#전사적시스템
#ISP
#ERD
#DFD
#CASE도구
#시스템분석설계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C(Line of Code) 기법 — 원시 코드 라인 수 기법이란? (原始코드 行數 技法) (0) | 2025.10.16 |
---|---|
소프트웨어 재사용 (Software Reuse, 再使用)이란? (0) | 2025.10.15 |
객체지향 방법론 (Object-Oriented Methodology, 對象指向方法論) (0) | 2025.10.15 |
커뮤니케이션 다이어그램 (Communication Diagram, 通信圖) (0) | 2025.10.15 |
순차 다이어그램 (Sequence Diagram, 順次圖) (0) | 202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