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PO 차트 (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 Chart)
**HIPO 차트(히포 차트)**는
‘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의 약어로,
우리말로는 **입력-처리-출력 구조도(階層入出力處理圖)**라 부른다.
이는 시스템의 기능을 계층적으로 구조화(Hierarchy) 하여
입력(Input), 처리(Process), 출력(Output)의 흐름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분석·설계 도구다.
1. 개념 설명
HIPO는 **구조적 분석(Structured Analysis)**과 구조적 설계(Structured Design) 과정에서
시스템을 계층적으로 나누어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쉽게 말하면,
“무엇을 입력받아 → 어떻게 처리하고 → 어떤 결과를 출력하는지”를
트리(Tree) 형태의 계층 구조로 정리한 도식이다.
이 기법은 프로그램의 전체 흐름을 한눈에 보여주며,
각 처리 단계 간의 관계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한다.
2. HIPO의 목적
- 시스템의 기능을 계층적으로 구조화하여 전체 흐름을 명확히 표현한다.
- 기능별 입력·처리·출력 관계를 시각화하여 이해도와 관리 효율성을 높인다.
- 설계 문서화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 상위 설계(Top-Down Design) 접근을 돕는다.
즉, HIPO는 **“설계 구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요약도”**라고 보면 된다.
3. HIPO의 구성 요소
HIPO 차트는 크게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① 가시적 도표(Visual Table of Contents, TOC)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계층적으로 표현한 목차 형태의 도식이다.
즉, 시스템의 “기능 계층 구조도”로, HIPO의 전체 윤곽을 보여준다.
(예: 0단계는 전체 시스템, 1단계는 하위 기능들)
② 총체적 도표(Overview Diagram)
상위 기능이 어떤 하위 기능들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도식이다.
각 기능 간의 입력·출력 관계를 함께 표현하여,
데이터의 흐름과 처리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다.
③ 세부 도표(Detail Diagram)
각 기능 단위별로 입력, 처리, 출력의 세부 내용을 기술한 도식이다.
실제 구현이나 모듈 설계 단계에서 사용된다.
이 세 가지가 HIPO의 계층 구조를 완성한다.
4. HIPO 차트의 종류 및 설명
HIPO 차트는 표현 목적에 따라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가시적 도표(Visual Table of Contents)
- 시스템 전체의 기능 구조를 트리(Tree) 형태로 표현한다.
- HIPO 문서의 ‘목차’에 해당하며, 전체 프로그램 구조를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둘째, 총체적 도표(Overview Diagram)
- 상위 기능이 어떻게 하위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 각 기능 간의 입력(Input)과 출력(Output)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과 처리 흐름을 함께 표현할 수 있다.
셋째, 세부 도표(Detail Diagram)
- 각 기능(프로세스) 단위별로 입력, 처리, 출력 항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 실제 코딩 설계와 테스트 설계에 직접 활용된다.
즉, “가시적 → 총체적 → 세부적”으로 점점 세분화되는 구조야.
5. HIPO의 장점
-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 각 기능 단위의 입출력 관계가 명확하게 정의된다.
- 설계 문서로 활용하기 쉽고, 유지보수에 유리하다.
- 상위 설계(Top-Down Design) 접근과 잘 어울린다.
6. HIPO의 단점
- 데이터 중심보다는 기능 중심이기 때문에,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흐름 표현이 부족할 수 있다. - 시스템 수정 시 상위 구조 전체를 변경해야 할 수도 있다.
즉, DFD(자료흐름도)가 “데이터 중심”이라면,
HIPO는 “기능 중심” 설계 도식이다.
7. DFD와 HIPO의 관계
자료흐름도(DFD)는 “데이터의 흐름”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분석하고,
HIPO는 그 분석 결과를 “처리 기능 중심으로 구조화”한 설계 표현이다.
즉, DFD → HIPO의 순서로 이어진다고 보면 된다.
(DFD로 분석 → HIPO로 설계 문서화)
8. 정처기 실기 정의 문장
“HIPO 차트는 시스템의 기능을 입력, 처리, 출력의 형태로
계층적으로 표현한 구조적 설계 도구로,
가시적 도표, 총체적 도표, 세부 도표의 세 가지 형태로 구성된다.”
시험 키워드:
입력·처리·출력, 계층적 구조, 가시적 도표, 총체적 도표, 세부 도표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 뜻풀이)
입력(入力) / Input
들 입(入), 힘 력(力)
: 데이터를 시스템 내부로 받아들이는 행위. 영어 input은 “넣다”의 뜻.
처리(處理) / Process
곳 처(處), 다스릴 리(理)
: 입력된 데이터를 변환·가공하여 결과를 만드는 행위. 영어 process는 라틴어 procedere(앞으로 나아가다)에서 유래.
출력(出力) / Output
날 출(出), 힘 력(力)
: 처리 결과를 외부로 내보내는 행위.
계층(階層) / Hierarchy
섬돌 계(階), 층 층(層)
: 위계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분된 구조. 영어 hieros(거룩한) + arkhe(통치)에서 유래.
도표(圖表) / Chart
그림 도(圖), 표 표(表)
: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도식. 영어 chart는 “지도, 계획을 그리다”에서 유래.
총체(總體) / Overview
거느릴 총(總), 몸 체(體)
: 전체를 한눈에 보는 관점. 영어 overview는 “전체적으로 조망하다”에서 유래.
세부(細部) / Detail
가늘 세(細), 떼 부(部)
: 전체 속의 작은 요소나 부분. 영어 detail은 “쪼개어 말하다”라는 뜻의 detailler에서 유래.
🏷️ 해시태그 정리
#HIPO
#HIPO차트
#입력처리출력
#HierarchyInputProcessOutput
#정처기실기
#히포차트
#구조적설계
#시스템분석설계
#가시적도표
#총체적도표
#세부도표
#소프트웨어공학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Use Case Diagram) (0) | 2025.10.15 |
---|---|
UML 다이어그램 (UML Diagram) (0) | 2025.10.15 |
요구사항 확인 (Requirement Validation) (0) | 2025.10.11 |
요구사항 명세 기법 (Requirements Specification Techniques) (0) | 2025.10.11 |
요구공학 (Requirements Engineering) (0) | 2025.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