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자연법과 실정법

2025. 10. 9. 01:27·독학사 1단계/법학개론
반응형

① 개념

자연법(自然法, Natural Law)

: 인간의 이성과 자연의 질서에서 비롯된, 보편적이고 변하지 않는 정의의 원리를 뜻한다.

이는 인간이 만든 법이 아니라 태어나면서부터 존재하는 ‘선천적 법’, 즉 자연의 법칙이자 도덕적 법이다.

→ “어떤 시대, 어떤 나라에서도 통용되어야 하는 옳은 법”

실정법(實定法, Positive Law)

: 국가가 일정한 절차를 거쳐 제정하고 시행하는 현실의 법, 즉 사람이 만든 법이다.

법률·명령·조례 등 현실적으로 존재하며 강제력을 가진 법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 “지금 이 사회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법”


② 자연법과 실정법의 비교

구분 자연법(自然法, Natural Law) 실정법(實定法, Positive Law)

성격 선천적·보편적 법 인위적·국가적 법
근거 인간의 이성, 자연의 질서, 정의 국가의 권위와 제정 절차
변화 여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불변 시대·사회에 따라 변함
목표 ‘옳음(正義)’의 실현 ‘질서(秩序)’의 유지
형태 추상적·이념적 구체적·현실적
예시 인간의 생명·자유·평등의 권리 헌법, 민법, 형법 등
대표사상가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루소 한스 켈젠(Kelsen), 하트(Hart) 등

③ 역사적 발전

  1. 고대의 자연법사상
    • 소크라테스: 법은 인간의 본성 속에 있는 정의의 표현이라 보았다.
    • 아리스토텔레스: 인간의 이성으로 인식되는 자연의 법칙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2. 중세의 신학적 자연법
    •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신의 이성이 곧 자연법이다.”
    • → 신이 창조한 질서를 인간 이성으로 깨닫는 것이 자연법이다.
  3. 근대의 계몽사상적 자연법
    • 그로티우스, 루소, 로크 등은 인간의 ‘자연권(生得權)’ — 즉, 태어나면서 가지는 자유·평등·생명권을 주장했다.
    • 사회계약설의 기초가 되었으며, 근대 헌법의 기본권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4. 근현대의 실정법 강조기
    • 국가가 법을 제정·시행하는 현실적 질서를 중시하며, 자연법보다 **법의 형식적 효력(강제성, 절차성)**을 강조함.
    •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 독일의 불법행위를 계기로 **“법에도 도덕적 한계가 있다”**는 반성에서 자연법이 재조명되었다.

④ 자연법과 실정법의 관계

자연법과 실정법은 대립만 하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 보완 관계에 있다.

  • 자연법은 실정법이 가야 할 **‘이념적 방향’**을 제시한다.
  • 실정법은 자연법의 이상을 현실에서 **‘제도화’**한 형태이다.

즉, 자연법은 이상(理想)의 법, 실정법은 현실(現實)의 법이다.

이상 없는 현실은 불의(不義)로 흐르고, 현실 없는 이상은 공허하다.


⑤ 요약

항목 자연법 실정법

법의 근원 인간의 이성, 자연의 질서 국가의 제정과 강제력
특징 도덕적, 불변, 보편 현실적, 가변, 구체
역할 법의 정당성 기준 제시 사회질서 유지와 집행
관계 이념적 기준 제공 현실적 실현 수단
한마디로 옳음(정의)의 법 존재하는(현실) 법

🔹 핵심 한줄 요약

자연법은 ‘법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말하는 이상적 기준이고,

실정법은 ‘현실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법’이다.

두 법은 대립이 아닌, 이념과 현실의 조화 속에서 법의 정당성을 완성한다.


📘 단어 정리 (완전판)

단어 한자 / 영어 한자 뜻풀이 의미

자연법 自然法 (natural law) 自 스스로 자 + 然 그럴 연 + 法 법 법 인간의 이성과 자연의 질서에서 비롯된 보편적 정의의 법
실정법 實定法 (positive law) 實 실제 실 + 定 정할 정 + 法 법 법 국가가 제정하여 시행하는 현실의 법
이성 理性 (reason) 理 다스릴 리 + 性 성품 성 사물의 이치를 분별하는 인간의 사고 능력
정의 正義 (justice) 正 바를 정 + 義 옳을 의 도덕적·사회적으로 옳고 공정한 가치
질서 秩序 (order) 秩 차례 질 + 序 차례 서 사물이나 사회의 일정한 순서와 안정된 상태
보편성 普遍性 (universality) 普 널리 보 + 遍 두루 편 + 性 성질 성 어느 시대·장소에도 적용되는 성질
가변성 可變性 (variability) 可 옳을 가 + 變 변할 변 + 性 성질 성 시대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성질
이념 理念 (ideal) 理 다스릴 리 + 念 생각 념 어떤 가치나 목표에 대한 이상적 관념
현실 現實 (reality) 現 나타날 현 + 實 실제 실 실제로 존재하거나 경험되는 세계
자연권 自然權 (natural rights) 自 스스로 자 + 然 그럴 연 + 權 권리 권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는 기본적 권리
사회계약 社會契約 (social contract) 社 모일 사 + 會 모일 회 + 契 맺을 계 + 約 맺을 약 개인이 계약을 통해 국가를 구성한다는 이론
정당성 正當性 (legitimacy) 正 바를 정 + 當 마땅 당 + 性 성질 성 도덕적으로나 법적으로 타당한 성질
불의 不義 (injustice) 不 아닐 불 + 義 옳을 의 정의롭지 못하고 도리에 어긋남

① 개념

자연법(自然法, Natural Law)

: 인간의 이성과 자연의 질서에서 비롯된, 보편적이고 변하지 않는 정의의 원리를 뜻한다.

이는 인간이 만든 법이 아니라 태어나면서부터 존재하는 ‘선천적 법’, 즉 자연의 법칙이자 도덕적 법이다.

→ “어떤 시대, 어떤 나라에서도 통용되어야 하는 옳은 법”

실정법(實定法, Positive Law)

: 국가가 일정한 절차를 거쳐 제정하고 시행하는 현실의 법, 즉 사람이 만든 법이다.

법률·명령·조례 등 현실적으로 존재하며 강제력을 가진 법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 “지금 이 사회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법”


② 자연법과 실정법의 비교

구분 자연법(自然法, Natural Law) 실정법(實定法, Positive Law)

성격 선천적·보편적 법 인위적·국가적 법
근거 인간의 이성, 자연의 질서, 정의 국가의 권위와 제정 절차
변화 여부 시대와 장소를 초월하여 불변 시대·사회에 따라 변함
목표 ‘옳음(正義)’의 실현 ‘질서(秩序)’의 유지
형태 추상적·이념적 구체적·현실적
예시 인간의 생명·자유·평등의 권리 헌법, 민법, 형법 등
대표사상가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토마스 아퀴나스, 루소 한스 켈젠(Kelsen), 하트(Hart) 등

③ 역사적 발전

  1. 고대의 자연법사상
    • 소크라테스: 법은 인간의 본성 속에 있는 정의의 표현이라 보았다.
    • 아리스토텔레스: 인간의 이성으로 인식되는 자연의 법칙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2. 중세의 신학적 자연법
    •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신의 이성이 곧 자연법이다.”
    • → 신이 창조한 질서를 인간 이성으로 깨닫는 것이 자연법이다.
  3. 근대의 계몽사상적 자연법
    • 그로티우스, 루소, 로크 등은 인간의 ‘자연권(生得權)’ — 즉, 태어나면서 가지는 자유·평등·생명권을 주장했다.
    • 사회계약설의 기초가 되었으며, 근대 헌법의 기본권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4. 근현대의 실정법 강조기
    • 국가가 법을 제정·시행하는 현실적 질서를 중시하며, 자연법보다 **법의 형식적 효력(강제성, 절차성)**을 강조함.
    •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나치 독일의 불법행위를 계기로 **“법에도 도덕적 한계가 있다”**는 반성에서 자연법이 재조명되었다.

④ 자연법과 실정법의 관계

자연법과 실정법은 대립만 하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 보완 관계에 있다.

  • 자연법은 실정법이 가야 할 **‘이념적 방향’**을 제시한다.
  • 실정법은 자연법의 이상을 현실에서 **‘제도화’**한 형태이다.

즉, 자연법은 이상(理想)의 법, 실정법은 현실(現實)의 법이다.

이상 없는 현실은 불의(不義)로 흐르고, 현실 없는 이상은 공허하다.


⑤ 요약

항목 자연법 실정법

법의 근원 인간의 이성, 자연의 질서 국가의 제정과 강제력
특징 도덕적, 불변, 보편 현실적, 가변, 구체
역할 법의 정당성 기준 제시 사회질서 유지와 집행
관계 이념적 기준 제공 현실적 실현 수단
한마디로 옳음(정의)의 법 존재하는(현실) 법

🔹 핵심 한줄 요약

자연법은 ‘법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말하는 이상적 기준이고,

실정법은 ‘현실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법’이다.

두 법은 대립이 아닌, 이념과 현실의 조화 속에서 법의 정당성을 완성한다.


📘 단어 정리 (완전판)

단어 한자 / 영어 한자 뜻풀이 의미

자연법 自然法 (natural law) 自 스스로 자 + 然 그럴 연 + 法 법 법 인간의 이성과 자연의 질서에서 비롯된 보편적 정의의 법
실정법 實定法 (positive law) 實 실제 실 + 定 정할 정 + 法 법 법 국가가 제정하여 시행하는 현실의 법
이성 理性 (reason) 理 다스릴 리 + 性 성품 성 사물의 이치를 분별하는 인간의 사고 능력
정의 正義 (justice) 正 바를 정 + 義 옳을 의 도덕적·사회적으로 옳고 공정한 가치
질서 秩序 (order) 秩 차례 질 + 序 차례 서 사물이나 사회의 일정한 순서와 안정된 상태
보편성 普遍性 (universality) 普 널리 보 + 遍 두루 편 + 性 성질 성 어느 시대·장소에도 적용되는 성질
가변성 可變性 (variability) 可 옳을 가 + 變 변할 변 + 性 성질 성 시대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성질
이념 理念 (ideal) 理 다스릴 리 + 念 생각 념 어떤 가치나 목표에 대한 이상적 관념
현실 現實 (reality) 現 나타날 현 + 實 실제 실 실제로 존재하거나 경험되는 세계
자연권 自然權 (natural rights) 自 스스로 자 + 然 그럴 연 + 權 권리 권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는 기본적 권리
사회계약 社會契約 (social contract) 社 모일 사 + 會 모일 회 + 契 맺을 계 + 約 맺을 약 개인이 계약을 통해 국가를 구성한다는 이론
정당성 正當性 (legitimacy) 正 바를 정 + 當 마땅 당 + 性 성질 성 도덕적으로나 법적으로 타당한 성질
불의 不義 (injustice) 不 아닐 불 + 義 옳을 의 정의롭지 못하고 도리에 어긋남
반응형
'독학사 1단계/법학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6. 법의 이념 (Ⅱ) — 합목적성(合目的性)
  • 5. 법의 이념 (Ⅰ) — 정의(正義)
  • 3. 법의 사회적 특징
  • 2. 사회와 사회규범 그리고 법규범
zeno
zeno
zeno
    반응형
  • zeno
    zeno
    zeno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1) N
      • 독학사 1단계 (11) N
        • 법학개론 (8) N
        • 철학의 이해 (3) N
      • Web (0)
        • HTML (0)
        • CSS (0)
        • Javascript (0)
        • React (0)
        • TIP (0)
      • Graphic (0)
        • Blender (0)
        • After Effect (0)
        • Illustrator (0)
        • Photoshop (0)
      • 자격증 (0)
        • 사진기능사 실기 (0)
        • 정보처리기사 실기 (0)
  • 링크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5
zeno
4. 자연법과 실정법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