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럼 기법 (Scrum)
**스크럼(Scrum)**은 애자일(Agile) 방법론의 한 형태로,
**짧은 개발 주기(Sprint)**를 반복하며
팀원 간의 협력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기법이다.
즉, 복잡한 프로젝트를 짧은 반복 주기로 나누어 관리하고,
팀이 스스로 계획·실행하며,
매일 소통을 통해 목표를 조정해 나가는 팀 중심의 애자일 실천 방법이다.
1. 개념 설명
‘Scrum’이라는 단어는 원래 럭비 경기에서 선수들이 공을 몰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뭉치는 장면에서 유래했다.
이처럼 스크럼 기법은 팀워크·소통·협력을 핵심 가치로 한다.
전통적인 폭포수 개발처럼
계획 → 설계 → 구현 → 테스트를 일방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2~4주 단위의 짧은 개발 주기인 **스프린트(Sprint)**를 반복하면서
작은 단위의 기능을 완성해 나간다.
각 스프린트마다 “설계 → 개발 → 테스트 → 리뷰”가 모두 포함되며,
하나의 스프린트가 끝날 때마다 **작동 가능한 결과물(Working Product)**이 나온다.
2. 스크럼의 핵심 구성 요소
스크럼은 세 가지로 구성된다.
(1) 역할(Role), (2) 산출물(Artifact), (3) 이벤트(Event)
① 역할(Role)
1️⃣ 제품 책임자(Product Owner)
- 고객의 요구와 비즈니스 가치를 대표한다.
- 개발 우선순위를 정하고,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관리한다.
2️⃣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 스크럼 프로세스가 원활히 돌아가도록 관리하는 조정자이자 촉진자.
- 팀의 장애 요소(방해 요인)를 제거하고, 원칙이 잘 지켜지도록 돕는다.
3️⃣ 개발팀(Development Team)
- 실제 제품을 개발하는 구성원.
- 자율적으로 목표를 정하고, 협업을 통해 기능을 완성한다.
- 팀은 일반적으로 5~9명으로 구성된다.
② 산출물(Artifact)
1️⃣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
- 제품에 필요한 모든 기능, 요구사항, 수정사항의 목록.
- 제품 책임자가 관리한다.
2️⃣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
- 해당 스프린트에서 구현할 항목들의 목록.
- 개발팀이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계획한다.
3️⃣ 번다운 차트(Burndown Chart)
- 남은 작업량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
-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③ 이벤트(Event)
1️⃣ 스프린트(Sprint)
- 실제 개발이 이루어지는 기간 (보통 2~4주).
- 각 스프린트가 끝날 때마다 동작 가능한 제품을 낸다.
2️⃣ 스프린트 계획 회의(Sprint Planning)
- 이번 스프린트에서 어떤 기능을 만들지 논의하고 목표를 설정한다.
3️⃣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
- 하루 15분 내외의 짧은 회의.
- 팀원 각자가 “어제 한 일, 오늘 할 일, 장애 요인”을 공유한다.
4️⃣ 스프린트 검토 회의(Sprint Review)
- 스프린트가 끝난 뒤, 결과물을 시연하며 사용자와 이해관계자의 피드백을 받는다.
5️⃣ 스프린트 회고 회의(Sprint Retrospective)
- 팀 내부적으로 이번 스프린트에서의 개선점, 협업 방식, 문제점을 되돌아본다.
3. 스크럼의 핵심 특징
- 짧은 주기 반복 개발 → 2~4주 단위의 Sprint 기반.
- 자율적 팀 운영 → 개발팀이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
- 지속적 피드백 → 매일 회의와 리뷰로 문제를 즉시 해결.
- 고객 중심 개발 → 제품 책임자의 요구를 중심으로 진행.
- 투명성 및 시각화 → 번다운 차트로 진행 상황을 즉시 파악.
4. 장점
-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즉각 대응 가능.
- 팀 간 협력이 강화되어 생산성과 품질이 향상됨.
- 각 스프린트마다 결과물이 나오므로 프로젝트 가시성이 높음.
- 지속적인 피드백으로 리스크가 조기에 줄어듦.
5. 단점
- 문서화가 적어 유지보수가 어려울 수 있다.
- 팀원 간 실력 편차가 크면 자율 구조가 흔들릴 수 있다.
- 대규모 프로젝트나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에는 부적합할 수 있다.
6. 정처기 실기 정의 문장
“스크럼 기법은 애자일 방법론의 한 형태로,
매일 정해진 시간에 팀이 짧은 주기로 회의를 하며
협력적이고 반복적인 개발을 수행하는 팀 중심의 개발 기법이다.”
시험 키워드로 기억해야 할 단어:
스프린트, 제품 백로그, 스프린트 백로그, 데일리 스크럼, 스크럼 마스터, 제품 책임자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 뜻풀이)
스크럼(Scrum)
영어 scrum (럭비에서 머리를 맞대고 몰아가는 장면)
: 협력과 단결을 상징하며, 팀 중심으로 함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것을 의미.
애자일(Agile)
영어 agilis (민첩한, 빠른) ← 라틴어 agere(움직이다)
: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유연하게 적응하는 성질.
방법론(方法論)
모 방(方), 법 법(法), 논할 론(論)
: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와 사고방식.
제품(製品) / Product
지을 제(製), 물건 품(品)
: 제작되어 완성된 물건. 영어 produce(만들다)에서 유래.
책임(責任) / Responsibility
꾸짖을 책(責), 맡을 임(任)
: 맡은 일에 대해 결과를 감당해야 하는 의무. 영어 respondere(응답하다)에서 유래.
개발(開發) / Development
열 개(開), 필 발(發)
: 잠재된 능력을 열어 드러냄. 영어 developere(풀다, 전개하다)에서 유래.
협력(協力) / Collaboration
화합할 협(協), 힘 력(力)
: 함께 힘을 모아 일함. 영어 collaborare(함께 일하다)에서 유래.
반복(反復) / Iteration
돌이킬 반(反), 겹칠 복(復)
: 같은 과정을 여러 번 되풀이하는 것.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XP, eXtreme Programming) (0) | 2025.10.10 |
---|---|
🧭 애자일 방법론 (Agile Methodology) (0) | 2025.10.10 |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Software Life Cycle) (0) | 2025.10.10 |
프로토타입 모형이란? (0) | 2025.10.10 |
🧭 소프트웨어 개발 프레임워크 (Software Development Framework) (0) | 202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