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필수 개념인 COCOMO 모델(Constructive Cost Model) 완벽 정리!
소프트웨어 비용 예측의 대표 모델로,
보헴(Barry W. Boehm) 이 제안한 개발 비용 산정 방식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정의, 원리, 3가지 프로젝트 유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COCOMO 모델(Constructive Cost Model)이란?
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구성적 비용모형) 은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노력(Effort), 기간(Schedule), 비용(Cost) 등을
수학적 공식으로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모델이에요.
즉,
“프로그램의 규모(라인 수, LOC)에 따라
개발 비용과 인력 투입량을 예측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보헴(Barry W. Boehm) 이 1981년에 제안했으며,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비용 추정 기법이에요.
👨🔬 보헴(Barry W. Boehm)은 누구인가?
배리 보헴(Barry W. Boehm) 은
미국의 저명한 소프트웨어 공학자(Software Engineer) 로,
소프트웨어 개발비 예측과 공학적 접근을 체계화한 인물이야.
그는 1981년 저서 Software Engineering Economics 에서
COCOMO 모델을 처음 발표했고,
이후 COCOMO II (1990년대 개정판)를 통해
현대 개발 환경에도 맞는 확장형 모델을 제시했어.
📘 한 줄 정리
보헴은 “소프트웨어 비용을 감(感)으로 정하던 시대를 끝낸 사람”이다.
⚙️ COCOMO 모델의 기본 원리
COCOMO는 개발 규모(LOC) 와 경험적 상수(a, b, c, d) 를 이용해
다음의 두 가지 기본 공식을 사용한다.
- 개발 노력(Effort, 인월) = a × (KLOC)^b
- 개발 기간(Duration) = c × (Effort)^d
여기서,
- KLOC(Kilo Line of Code) = 코드 1,000라인 단위
- a, b, c, d = 프로젝트 유형에 따라 다름 (보헴이 제시한 실험값)
이 공식으로 개발에 필요한 인력, 시간, 비용을 예측할 수 있다.
🧩 COCOMO 모델의 3가지 프로젝트 유형
보헴은 프로젝트의 성격에 따라
COCOMO 모델을 3가지 유형(Type) 으로 구분했어.
각 유형은 복잡도, 팀 규모, 개발 환경의 안정성에 따라 달라진다.
① 조직형 프로젝트 (Organic Mode)
소규모, 단순, 익숙한 환경에서 수행되는 프로젝트.
보통 대학 연구소, 소규모 개발팀, 스타트업 등이 해당돼.
- 특징:
- 개발자들이 문제 영역을 잘 알고 있음
- 요구사항이 명확하고 변화가 적음
- 관리 절차가 단순함
- 예시:
- 단일 부서용 관리 프로그램
- 내부용 자동화 도구 등
- 계수 값:
- a = 2.4, b = 1.05, c = 2.5, d = 0.38
👉 핵심:
가볍고 빠른 프로젝트. "작고 익숙한 환경."
② 반분리형 프로젝트 (Semi-Detached Mode)
중간 규모의 복잡도와 경험이 혼합된 프로젝트.
일부는 잘 알고 있지만, 새로운 요소도 포함된 경우야.
- 특징:
- 중간 정도의 복잡도
- 개발자 경험 수준이 다양함
- 일정한 관리 절차가 필요
- 예시:
- 중형 기업용 MIS, 병원정보시스템 등
- 계수 값:
- a = 3.0, b = 1.12, c = 2.5, d = 0.35
👉 핵심:
익숙함과 새로움이 공존하는 “균형 잡힌 프로젝트.”
③ 내장형 프로젝트 (Embedded Mode)
대규모, 복잡하고 제약이 많은 시스템 개발.
하드웨어, 실시간 제어, 보안 등 외부 조건에 강하게 묶여 있음.
- 특징:
- 복잡도 높고, 변경 불가한 조건 다수
- 하드웨어 제약, 실시간 응답, 안전성 요구
- 개발 절차와 문서화가 엄격히 필요
- 예시:
- 항공 관제 시스템, 군사 제어 시스템, 차량 ECU 등
- 계수 값:
- a = 3.6, b = 1.20, c = 2.5, d = 0.32
👉 핵심:
“크고 위험한 프로젝트.” — 높은 복잡도, 강한 제약, 긴 일정.
💡 실무 활용 예시
COCOMO는 단순히 시험용 개념이 아니라,
프로젝트 초기에 “개발비 견적”을 잡을 때 실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예상 코드 규모가 50KLOC(=50,000라인) 인 조직형 프로젝트라면
Effort = 2.4 × (50)^1.05 로 계산해
필요 인월(Person-Month)과 기간(Schedule)을 예측할 수 있다.
🧠 정처기 실기 핵심 정의 문장
“COCOMO 모델은 보헴(Boehm)이 제안한
소프트웨어 비용 예측 모델로,
프로그램의 규모(LOC)를 기반으로 노력, 기간, 비용을 산정하며
조직형, 반분리형, 내장형의 세 가지 프로젝트 유형으로 구분된다.”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 모형(模型) / Model
본뜰 모(模), 틀 형(型): 실제 대상을 단순화한 이론적 표현. - 비용(費用) / Cost
쓸 비(費), 쓸 용(用): 자원을 사용하기 위한 금전적 가치. - 규모(規模) / Size
법 규(規), 본보기 모(模): 시스템의 크기나 범위. - 노력(努力) / Effort
힘쓸 노(努), 힘 력(力): 인력과 시간의 투입량. - 일정(日程) / Schedule
날 일(日), 한도 정(程): 작업 수행의 기간 계획.
🔗 함께 보면 좋은 글
🧩 결론 요약
✅ COCOMO 모델은
보헴(Barry Boehm)이 개발한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 모델로,
LOC(라인 수) 를 기반으로
개발 노력·기간·비용을 수학적으로 계산한다.
프로젝트는
- 작고 단순한 조직형(Organic)
- 중간 복잡도의 반분리형(Semi-Detached)
- 대규모·고난도 내장형(Embedded)
으로 구분된다.
📍 시험 핵심 키워드: COCOMO / 보헴 / 비용 추정 / LOC / 프로젝트 유형
🏷️ 해시태그
#COCOMO모델
#보헴
#정처기실기
#소프트웨어공학
#소프트웨어비용산정
#프로젝트유형
#소프트웨어개발
#LOC
#개발비용예측
#TistorySEO
#검색엔진최적화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PM(임계경로기법)이란? | 프로젝트 관리 핵심 개념 완벽 정리 (0) | 2025.10.16 |
---|---|
✅ Putnam 모형이란? | Rayleigh-Norden 곡선 기반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 기법 완벽 정리 (0) | 2025.10.16 |
소프트웨어 재공학 (Software Re-engineering, 再工學) (0) | 2025.10.16 |
LOC(Line of Code) 기법 — 원시 코드 라인 수 기법이란? (原始코드 行數 技法) (0) | 2025.10.16 |
소프트웨어 재사용 (Software Reuse, 再使用)이란? (0) | 202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