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PM(임계경
로기법)이란? | 프로젝트 관리 핵심 개념 완벽 정리
CPM(Critical Path Method, 임계경로기법) 은
프로젝트의 일정 계획과 관리에서 전체 공정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업 간의 선후 관계와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임계경로를 식별하는 기법입니다.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구축, 소프트웨어 공학 시험 등에서 반드시 등장하는 핵심 용어입니다.
🧭 CPM(임계경로기법)의 정의
CPM(임계경로기법) 은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여러 작업(Activity)들 간의 의존 관계(Dependency) 와
각 작업의 소요 시간(Duration) 을 고려하여
프로젝트 완료까지 걸리는 최소 기간을 계산하는 일정관리 기법입니다.
즉, “전체 일정 중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경로(=임계경로, Critical Path)”를 찾아
프로젝트의 완료 시점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 CPM의 핵심 개념
- Activity (작업) : 수행해야 할 개별 업무나 단계.
- Event (이벤트) : 작업의 시작 또는 종료 시점.
- Duration (소요 시간) : 각 작업을 완료하는 데 필요한 시간.
- Precedence (선후 관계) : 어떤 작업이 끝나야 다음 작업이 시작될 수 있는지 나타냄.
- Critical Path (임계경로) : 프로젝트 전체 기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작업 경로.
📘 임계경로는 프로젝트에서 “지연이 허용되지 않는 경로”이며,
이 경로의 작업 중 하나라도 늦어지면 전체 일정이 함께 지연됩니다.
🧩 CPM의 계산 절차
1️⃣ 프로젝트 작업(Activity) 정의
→ 전체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작업으로 분할합니다.
2️⃣ 작업 간 선후 관계 설정
→ 어떤 작업이 끝나야 다른 작업이 시작되는지 도식화합니다.
3️⃣ 네트워크(Network) 작성
→ 작업들을 노드(Node)와 화살표(Arrow)로 연결한 PERT/CPM 네트워크를 작성합니다.
4️⃣ 작업별 소요 시간 입력
→ 각 Activity에 예상 기간(Duration)을 기록합니다.
5️⃣ 조기 시작/종료(ES, EF) 계산
→ 각 작업이 가장 빨리 시작(Early Start)하고 끝낼 수 있는 시점을 계산합니다.
6️⃣ 최종 시작/종료(LS, LF) 계산
→ 각 작업이 가장 늦게 시작(Late Start)하고 끝낼 수 있는 시점을 계산합니다.
7️⃣ 여유 시간(Slack) 계산
→ LS - ES 또는 LF - EF 로 여유 시간(Slack Time)을 계산합니다.
8️⃣ 임계경로(Critical Path) 결정
→ 여유 시간이 ‘0’인 작업들의 연결 경로가 임계경로입니다.
📊 CPM의 주요 공식
- 조기 종료 시간(EF) = ES + Duration
- 여유 시간(Slack) = LS – ES 또는 LF – EF
📍 임계경로의 총 여유 시간(Slack)은 0입니다.
이 경로가 바로 프로젝트 기간을 결정하는 핵심 축입니다.
📈 CPM 네트워크 예시 (개념 설명)
- 경로1: A → B → D = 3 + 2 + 4 = 9일
- 경로2: A → C → D = 3 + 5 + 4 = 12일
👉 가장 긴 경로인 A–C–D (12일) 이 임계경로(Critical Path) 가 됩니다.
💡 CPM의 장점
- 프로젝트 전체 기간 예측 가능
- 일정 지연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 가능
- 자원(Resource) 관리 및 일정 조정 용이
- 병목 구간(지연 가능성 높은 구간) 파악 가능
⚠️ 단점 및 한계
- 모든 작업의 소요 시간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 변화가 잦은 프로젝트에는 유연성이 떨어진다.
- 일정 변경 시 네트워크를 다시 계산해야 한다.
🧠 정처기 실기 핵심 정의
“CPM(임계경로기법)은 프로젝트의 작업 간 선후 관계와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전체 작업 기간을 결정하고, 지연이 허용되지 않는 임계경로를 식별하는 일정 관리 기법이다.”
시험 키워드:
CPM, 임계경로, Activity, Duration, Slack, PERT, 일정관리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 임계(臨界) / Critical — 임할 임(臨), 경계 계(界): 한계점에 이르러 변화가 일어나는 상태.
- 경로(經路) / Path — 날 경(經), 길 로(路): 연결된 작업의 진행 흐름.
- 기법(技法) / Method — 재주 기(技), 법 법(法): 기술적 접근이나 수행 절차.
- 활동(活動) / Activity — 살 활(活), 움직일 동(動): 프로젝트 내 수행 단위.
- 여유(餘裕) / Slack — 남을 여(餘), 너그러울 유(裕): 일정 내 지연이 허용되는 시간.
✨ 결론 요약
✅ CPM(임계경로기법) 은
프로젝트의 작업 간 선후 관계와 소요 시간을 기반으로
전체 일정의 최소 기간과 임계경로를 도출하는 일정관리 기법입니다.
임계경로 상의 작업은 지연이 허용되지 않으며,
그 어느 하나라도 늦어지면 전체 프로젝트 일정이 연기됩니다.
📍 시험 핵심 포인트:
- 임계경로의 여유시간 = 0
- CPM은 일정 관리 중심, PERT는 확률적 분석 중심
🏷️ 해시태그
#CPM
#임계경로기법
#CriticalPathMethod
#프로젝트관리
#정처기실기
#소프트웨어공학
#일정관리
#PERT
#프로젝트스케줄링
#TistorySEO
#검색엔진최적화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ICE 프로세스 수행 능력 단계란? | ISO 15504 프로세스 역량 수준 완벽 정리 (0) | 2025.10.16 |
---|---|
✅ Putnam 모형이란? | Rayleigh-Norden 곡선 기반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 기법 완벽 정리 (0) | 2025.10.16 |
✅ COCOMO 모델이란? | 보헴(Barry Boehm)과 프로젝트 유형 3가지 완벽 정리 (0) | 2025.10.16 |
소프트웨어 재공학 (Software Re-engineering, 再工學) (0) | 2025.10.16 |
LOC(Line of Code) 기법 — 원시 코드 라인 수 기법이란? (原始코드 行數 技法)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