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수행 능력(Capability) 을 평가하고
품질과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국제 표준 모델(ISO/IEC 15504) 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PICE의 개념, 목적, 수행 능력 단계(0~5단계),
그리고 CMMI와의 차이까지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 SPICE란 무엇인가
SPICE는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및 수행 능력 평가’를 의미합니다.
국제 표준 ISO/IEC 15504 로 제정되어,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관리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모델이에요.
한마디로, SPICE는 “조직의 개발 프로세스가 얼마나 성숙했는가” 를 판단하는 기준이에요.
⚙️ SPICE의 목적
SPICE의 주요 목적은 세 가지로 정리됩니다.
첫째, 프로세스 수행 능력 평가 —
조직의 개발 프로세스를 정량화하여 0단계부터 5단계까지 수준별로 평가합니다.
둘째, 프로세스 개선 —
평가를 통해 약점을 찾아 개선하며, 표준화와 효율화를 동시에 달성합니다.
셋째, 품질 향상과 경쟁력 확보 —
국제 표준 기반 평가를 통해 기업의 품질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인증 기반을 마련합니다.
🧩 SPICE의 구성
SPICE는 두 가지 축으로 이루어집니다.
하나는 프로세스 참조 모델(Process Reference Model, PRM) 로,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요구공학, 설계, 검증, 형상관리 같은 실제 수행 프로세스들이 포함됩니다.
또 하나는 프로세스 수행 능력 모델(Process Capability Model, PCM) 로,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가’를 평가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준이 바로 수행 능력 단계(0~5단계) 입니다.
📘 SPICE 수행 능력 단계 (0~5단계)
SPICE의 수행 능력 단계는 총 6단계, 즉 0단계부터 5단계까지로 구분됩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프로세스가 체계화되고, 관리 수준이 높아집니다.
0단계 불완전 단계(Incomplete)
: 프로세스가 정의되지 않았거나, 수행이 불안정한 상태입니다.
결과물이 불완전하거나 목표 달성이 불가능한 수준입니다.
즉흥적(Ad-hoc)으로 일하는 단계입니다.
1단계 수행 단계(Performed)
: 프로세스가 정의되어 실행되며 결과물이 산출됩니다.
하지만 관리가 체계적이지 않고 개인 역량에 의존하는 수준입니다.
결과는 나오지만 일관성이 부족합니다.
2단계 관리 단계(Managed)
: 프로세스가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됩니다.
일정, 품질, 비용이 기본적인 절차에 따라 통제되며,
프로젝트별 산출물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합니다.
3단계 정의 단계(Established)
: 조직 차원의 표준 프로세스가 수립되어 모든 프로젝트에 일관되게 적용됩니다.
프로세스가 문서화되어 있고, 교육과 표준 지침이 존재합니다.
조직 전체가 동일한 방식으로 일하는 단계입니다.
4단계 예측 단계(Predictable)
: 프로세스가 정량적으로 측정되고 분석됩니다.
품질과 성과를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통계적 관리가 이루어집니다.
데이터를 통해 품질과 생산성을 예측할 수 있는 단계입니다.
5단계 최적화 단계(Optimizing)
: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개선됩니다.
새로운 기술과 피드백이 반영되고, 혁신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데이터 기반의 지속적 개선이 이루어지는 최상위 단계입니다.
💡 SPICE의 핵심 포인트 요약
SPICE는 단순한 품질 평가가 아니라,
“조직의 일하는 방식 자체를 성숙하게 만드는 프로세스 관리 모델”이에요.
0단계는 아무 체계가 없는 상태,
1단계는 개인 역량에 의존하는 상태,
2단계는 프로젝트별 관리,
3단계는 조직 표준화,
4단계는 데이터 기반의 예측,
5단계는 지속적 개선으로 완성됩니다.
🧠 SPICE와 CMMI의 차이
SPICE는 개별 프로세스 중심의 “수행 능력 평가” 모델이고,
CMMI는 조직 전체의 “성숙도 개선” 모델이에요.
SPICE는 “얼마나 잘 수행했는가(How well)?” 를 평가하고,
CMMI는 “조직이 얼마나 성숙했는가(How mature)?” 를 진단합니다.
SPICE는 ISO 15504로 국제 표준화되어 있고,
CMMI는 미국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에서 개발되었습니다.
🧾 정처기 실기 핵심 정의 문장
“SPICE(ISO/IEC 15504)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수행 능력을
0단계(불완전)부터 5단계(최적화)까지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프로세스 개선과 품질 향상을 지원하는 국제 표준이다.”
🪶 단어 정리 (한국식 한자 + 영어 어원)
프로세스(過程) / Process
: 지날 과(過), 정할 정(程). 일련의 업무 절차나 흐름.
수행(遂行) / Perform
: 이룰 수(遂), 행할 행(行). 계획된 일을 실행함.
관리(管理) / Manage
: 맡을 관(管), 다스릴 리(理). 일정 목표를 위해 통제하고 조정함.
개선(改善) / Improvement
: 고칠 개(改), 착할 선(善). 더 나은 상태로 바꾸는 것.
성숙도(成熟度) / Maturity
: 익을 성(成), 익을 숙(熟), 정도 도(度). 완성된 수준을 의미.
✨ 결론 요약
SPICE는 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국제 표준 평가 모델입니다.
0단계에서 5단계까지 단계별로 관리 체계가 발전하며,
상위 단계로 갈수록 정량적 품질 관리와 지속적 개선이 강조됩니다.
즉, SPICE는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체계적 관리 도구이자,
품질 향상의 기준입니다.
🏷️ 해시태그
#SPICE
#ISO15504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프로세스수행능력
#소프트웨어공학
#정처기실기
#프로세스성숙도
#CMMI
#ISO12207
#검색엔진최적화
#Tistory블로그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PM(임계경로기법)이란? | 프로젝트 관리 핵심 개념 완벽 정리 (0) | 2025.10.16 |
---|---|
✅ Putnam 모형이란? | Rayleigh-Norden 곡선 기반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 기법 완벽 정리 (0) | 2025.10.16 |
✅ COCOMO 모델이란? | 보헴(Barry Boehm)과 프로젝트 유형 3가지 완벽 정리 (0) | 2025.10.16 |
소프트웨어 재공학 (Software Re-engineering, 再工學) (0) | 2025.10.16 |
LOC(Line of Code) 기법 — 원시 코드 라인 수 기법이란? (原始코드 行數 技法)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