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구사항 확인 (Requirement Validation)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요구사항 확인 (Requirement Validation)**요구사항 확인(要求事項確認)**이란요구사항 개발 과정에서 도출되고 명세된 요구들이사용자의 진짜 의도와 일치하는지, 품질 기준에 부합하는지 검토하는 단계이다.즉, “개발자가 이해한 요구가 사용자(고객)가 실제로 원한 것인가?”를 검증하는 절차다.1. 개념 설명요구사항은 단순히 문서로 적는다고 끝이 아니다.사용자 요구를 잘못 해석했거나,불완전하거나,상충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요구사항 확인은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찾아내어오류를 최소화하고 개발의 방향을 올바르게 잡는 과정이다.이 단계는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초기에 수행되지만,결과적으로 전체 개발 품질을 좌우한다.요구사항 검증(Verification)과는 구별되며,Validation은 “제대로 ..
요구사항 명세 기법 (Requirements Specification Techniques)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요구사항 명세(要求事項明細)**란요구공학 과정에서 도출·분석된 요구사항을개발자와 사용자가 공통으로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문서화하는 단계를 말한다.즉, 사용자의 요구를 기술적 언어로 바꿔개발의 기준이 되는 “요구사항 명세서(SRS,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를 만드는 과정이다.이 명세서는소프트웨어 설계·구현·테스트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정확성, 명확성, 완전성, 일관성이 핵심 품질 요소다.1. 요구사항 명세의 목적요구사항 명세의 가장 큰 목적은**“사용자의 요구를 구체적이고 모호함 없이 표현하는 것”**이다.이를 통해 개발자는 명확한 설계 기준을 세울 수 있고,사용자와의 오해나 요구 해석 오류를 줄일 수 있다.2. 명세 기법의 종류요구사항 명세는 크게 두 가지 ..
요구공학 (Requirements Engineering)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요구공학 (Requirements Engineering)**요구공학(要求工學)**이란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도출·분석·명세·검증·관리하는 과정과그에 필요한 기법, 절차, 원리를 연구하는 공학적 활동이다.쉽게 말하면,“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정확히 찾아내고,그걸 개발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꾸는 기술”이 바로 요구공학이다.1. 개념 설명소프트웨어 개발의 실패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요구사항 오류다.요구가 잘못 정의되면, 설계·구현·테스트가 모두 틀어진다.그래서 요구공학은 이런 문제를 막기 위해요구사항을 수집하고, 분석하고, 명확히 문서화하며, 변경될 때마다 관리하는 전 과정을 말한다.이 개념은 단순한 분석이 아니라,“요구사항 생명주기(Requirement..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요구사항(要求事項)**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기대하는 기능과 조건을 문서로 정리한 것이다.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단계이자 가장 중요한 기초로,요구사항이 잘못 정의되면 이후의 설계·구현·테스트가 모두 흔들리게 된다.요구사항은 크게 기능 요구사항과 비기능 요구사항으로 나뉜다.두 개념은 시스템의 “무엇을 할 것인가”와 “어떻게 할 것인가”를 구분하는 기준이다.1. 기능 요구사항 (Functional Requirement)**기능 요구사항(機能要求事項)**은시스템이 수행해야 하는 행동이나 작업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이다.즉, 시스템이 “무엇을 해야 하는가(What)”에 초점을 둔다.예를 들어,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어야 하고,상품을 검색할 수 있으며,결제 버튼을 누르면 결제 ..
하드웨어 구성 파악과 이중화(二重化) – 서버는 왜 ‘복제’를 두려워하지 않는가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하드웨어 구성 파악과 이중화(二重化) – 서버는 왜 ‘복제’를 두려워하지 않는가현행 시스템을 분석할 때, 하드웨어 구성 파악은 단순히 “서버가 몇 대 있는가”를 세는 일이 아니다.더 본질적인 목표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복원력(resilience)**을 진단하는 것이다.즉, 장애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이 얼마나 빨리, 얼마나 완전하게 복구될 수 있는가를 보는 것이다.이때 핵심이 되는 개념이 바로 **이중화(Redundancy)**와 **복제(Replication)**다.1. 이중화(二重化, Redundancy)란 무엇인가이중화란 말 그대로 하나의 기능을 두 개 이상으로 중복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을 ‘쌍으로’ 구성하여,한쪽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쪽이 즉시..
현행 시스템을 파악하는 과정 – 구조를 읽고, 논리를 해부하다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현행 시스템을 파악하는 과정은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첫 단계다.쉽게 말해, 지금 운영 중인 시스템이 ‘어떻게 생겼고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정확히 해부하는 과정이다.이걸 잘못하면, 나중에 설계 단계에서 현실과 맞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버리게 된다.1. 아키텍처 구성 파악‘아키텍처(Architecture)’란 시스템의 큰 뼈대 구조를 의미한다.소프트웨어의 구성 요소들이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시각화한 설계도라 보면 된다.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인지, 3계층 구조(프레젠테이션 / 비즈니스 로직 / 데이터베이스)인지, 또는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인지 등을 분석한다.이 단계에서는 시스템이 어떤 구조적 원리로 작동하는지를 파악하고, 각 구성요소 간의 상호 관계를 명확히 ..
XP(eXtreme Programming) 개발방법론: “극단의 단순함으로 품질을 높이다”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XP는 **‘가장 효과적인 개발 관행들을 극한으로 밀어붙인 방식’**이다.즉, 테스트를 하려면 “항상 자동으로”, 코드 리뷰를 하려면 “모든 순간에”,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려면 “매일매일” 하는 것이다.⸻1. XP의 기본 철학XP의 핵심은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다.요구사항이 자주 바뀌는 환경에서도 높은 품질의 코드를 유지하려면,프로세스보다 소통, 피드백, 단순함, 용기, 존중이 중요하다고 본다.이 다섯 가지는 XP의 **핵심 가치(Core Values)**이다.이 가치 위에서 XP의 **실천 방법(Practices)**이 구체적으로 작동한다.⸻2. XP의 주요 실천 방법 (핵심 12 Practices)(1) Pair Programming ― 짝 프로그래밍두 명이 한 컴퓨터에서 ..
🔗 API, 서버, 프록시, JSON, CORS — 웹 통신의 다섯 기둥
·
Web/TIP
🔗 API, 서버, 프록시, JSON, CORS — 웹 통신의 다섯 기둥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대화 통로’다.쉽게 말하면 프로그램이 프로그램에게 말을 거는 방법이다.예를 들어, 네가 만든 웹페이지에서 날씨 정보를 가져오려면‘기상청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할 수는 없겠지.그 대신 “API”를 통해 정해진 형식으로 요청(request)을 보내면,기상청 서버가 JSON이나 XML로 데이터를 응답(response)한다.API는 규칙과 언어의 집합이다.서로 다른 시스템이 안전하게,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소통하도록 만든다.2. 서버(Server)서버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주체다.클라이언트(사용자, 브라우저)가 요청하면..
삼성전자 10만 전자 시대, 기술·경제·시장 구조로 본 미래 전략
·
이슈/경제
삼성전자 10만 전자 시대, 기술·경제·시장 구조로 본 미래 전략최근 삼성전자 주가는 8만 원을 넘어 9만 원대로 진입했고,이제 ‘10만 전자’라는 말이 다시 시장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그 배경에는 단순한 기대감이 아닌, 반도체 산업 구조 자체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범용 D램 시장의 공급자 우위 전환, HBM4 기술 경쟁력,그리고 파운드리 사업의 재도약이 맞물리면서 삼성전자는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1. 주가 상승의 배경: 공급자 우위와 기술력의 복합 효과현재 범용 D램 시장은 ‘공급자 우위 시장’으로 바뀌었다.이는 삼성전자에게 결정적인 호재다.기업들이 AI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개발에 집중하면서,일반 D램 생산량이 감소했다.하지만 수요는 오히려 늘고 있다.이 때문에 고객사들이 D램 물..

💡 이벤트 캠페인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