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용량 충분한데 복사가 안 되는 이유와 해결법
·
Web/TIP
USB에 파일을 옮기려다 이런 문구 보신 적 있으시죠?“파일이 너무 커서 대상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분명 USB 용량은 충분한데, 파일이 전혀 복사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이건 파일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 때문입니다.오늘은 그 이유와 해결 방법, 그리고 포맷할 때 꼭 알아야 하는 설정을 차근차근 알려드리겠습니다.⸻💡 왜 용량이 충분한데도 파일이 안 옮겨질까?문제의 원인은 대부분 USB가 FAT32 방식으로 포맷되어 있기 때문입니다.FAT32는 199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오래된 파일 시스템으로,단일 파일 크기를 4GB(기가바이트) 까지만 허용합니다.즉, • USB 용량이 64GB든 128GB든 상관없이 • 4GB보다 큰 파일은 저장이 불가능합니다.영화, ISO 이미지, 백업 파일처럼 대용..
✅ SPICE 프로세스 수행 능력 단계란? | ISO 15504 프로세스 역량 수준 완벽 정리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SPICE(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는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의 수행 능력(Capability) 을 평가하고품질과 생산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국제 표준 모델(ISO/IEC 15504) 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PICE의 개념, 목적, 수행 능력 단계(0~5단계),그리고 CMMI와의 차이까지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SPICE란 무엇인가SPICE는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and Capability Determination”의 약자로‘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및 수행 능력 평가’를 의미합니다.국제 표준 ISO/IEC 15504 로 제정되어,조직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일관되..
✅ CPM(임계경로기법)이란? | 프로젝트 관리 핵심 개념 완벽 정리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CPM(임계경로기법)이란? | 프로젝트 관리 핵심 개념 완벽 정리CPM(Critical Path Method, 임계경로기법) 은프로젝트의 일정 계획과 관리에서 전체 공정 기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작업 간의 선후 관계와 소요 시간을 분석하여 임계경로를 식별하는 기법입니다.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구축, 소프트웨어 공학 시험 등에서 반드시 등장하는 핵심 용어입니다.🧭 CPM(임계경로기법)의 정의CPM(임계경로기법) 은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여러 작업(Activity)들 간의 의존 관계(Dependency) 와각 작업의 소요 시간(Duration) 을 고려하여프로젝트 완료까지 걸리는 최소 기간을 계산하는 일정관리 기법입니다.즉, “전체 일정 중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경로(=임계경로, Critical Path)”를..
✅ Putnam 모형이란? | Rayleigh-Norden 곡선 기반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 기법 완벽 정리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Putnam 모형이란? | Rayleigh-Norden 곡선 기반소프트웨어 비용 산정 기법 완벽 정리 정처기 실기 필수 단골 개념 💡Putnam 모형(Putnam Model) 은Rayleigh-Norden 곡선의 노력 분포도(Effort Distribution) 를 이용해프로젝트의 비용(Cost), 노력(Effort), 개발 기간(Duration) 을 추정하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비용 산정 기법이에요.🧭 Putnam 모형(Putnam Model)이란?Putnam 모형(푸트남 모형) 은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투입되는 노력(Effort) 의 분포가특정한 형태(∩ 모양)를 가진다는 Rayleigh-Norden 곡선(Rayleigh-Norden Curve) 에 기반한소프트웨어 비용 산정(Software..
✅ COCOMO 모델이란? | 보헴(Barry Boehm)과 프로젝트 유형 3가지 완벽 정리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정처기 실기 필수 개념인 COCOMO 모델(Constructive Cost Model) 완벽 정리!소프트웨어 비용 예측의 대표 모델로,보헴(Barry W. Boehm) 이 제안한 개발 비용 산정 방식이에요.이번 글에서는 정의, 원리, 3가지 프로젝트 유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COCOMO 모델(Constructive Cost Model)이란?COCOMO(Constructive Cost Model, 구성적 비용모형) 은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노력(Effort), 기간(Schedule), 비용(Cost) 등을수학적 공식으로 정량적으로 추정하는 모델이에요.즉,“프로그램의 규모(라인 수, LOC)에 따라개발 비용과 인력 투입량을 예측하는 모델”입니다.이 모델은 보헴(Barry W. Boehm) 이 19..
소프트웨어 재공학 (Software Re-engineering, 再工學)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소프트웨어 재공학(再工學, Software Re-engineering)이란?**소프트웨어 재공학(再工學)**은이미 만들어진 시스템을 분석 → 개선 → 재구성하여성능, 유지보수성, 품질을 높이는 소프트웨어의 리모델링(Remodeling) 과정이에요.즉, 새로 만드는 게 아니라“기존 시스템을 더 좋은 구조로 바꾸는 것”이에요.이건 단순 리팩토링(refactoring)이 아니라,시스템 전체를 분석하고, 코드·데이터·설계 구조를 다시 다듬는 공학적 접근이에요.⚙️ 소프트웨어 재공학의 목적✅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 향상 — 수정과 보완이 쉬운 구조로 개선✅ 이식성(Portability) 강화 — 새로운 플랫폼에서도 동작 가능✅ 성능(Performance) 개선 — 불필요한 코드 제거 및 최..
LOC(Line of Code) 기법 — 원시 코드 라인 수 기법이란? (原始코드 行數 技法)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LOC(Line of Code, 원시코드 라인 수) 기법이란소프트웨어 개발의 생산성(生産性) 과 비용(費用) 을 추정하기 위해,프로그램의 원시 코드 줄 수(Line of Code) 를 기반으로개발 규모(Size)를 측정하는 정량적(定量的) 측정 기법이다.즉,“작성될 코드의 총 라인 수를 기준으로개발 노력(Effort), 인원(Personnel), 일정(Schedule), 비용(Cost)을 추정하는 방식”이다.1️⃣ 개념 설명소프트웨어 공학에서 프로젝트 규모를 추정할 때,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오래된 방법이 바로 LOC 기법이다.이 방식은 “코드가 많을수록 개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는단순하고 직관적인 가정에서 출발했다.그래서 개발 전 또는 후에 프로그램의 라인 수(Line Count) 를 측정하여개발 규..
소프트웨어 재사용 (Software Reuse, 再使用)이란?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 소프트웨어 재사용 (Software Reuse, 再使用)**소프트웨어 재사용(再使用)**이란이미 개발되어 검증된 소프트웨어 자산(Software Asset)—즉, 코드, 모듈, 설계, 문서, 테스트 케이스, 요구사항 등을새로운 시스템 개발 시 다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즉,“한 번 만든 소프트웨어를 여러 번 쓰는 기술적·관리적 접근법”이다.1️⃣ 개념 설명전통적인 개발 방식은 매 프로젝트마다 모든 것을 처음부터 새로 개발했다.이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품질 편차가 크며, 비용이 많이 든다.반면, 재사용(Reuse)은 이미 만들어둔 기능이나 구성 요소를필요한 곳에 재활용함으로써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개발 방식이다.소프트웨어 재사용은 단순히 코드를 복사(Copy) 하는 것이 아니라,재사용 가능한..
정보공학 개발 방법론 (Information Engineering, 情報工學開發方法論)이란 ?
·
자격증/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보공학 개발 방법론(情報工學開發方法論)**은기업의 전략적 정보 시스템(Strategic Information System) 을 구축하기 위해데이터(Data) 중심으로 정보 시스템을 개발·관리하는 방법론이다.즉, 조직 전체의 비전과 목표를 기반으로데이터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설계하여,정보 시스템을 통합적(Integrated) 으로 개발하는 모델 중심의 방법론이다.1. 개념 설명전통적인 개발 방법론(예: 폭포수 모형)은“프로그램 중심” 또는 “프로세스 중심”으로 접근했다.반면, 정보공학(Information Engineering, IE)은“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데이터를 중심”으로 접근한다.즉,“조직의 데이터 구조를 먼저 정의하고,그 위에 응용 시스템(Application System)을 구축..

💡 이벤트 캠페인 추천